점선면에 대한 자료(資料)[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8-07 07:11
본문
Download : 점선면에 대한 자료[건축].hwp
선은 기와 색상, 명도에 따라 다양한 현상들을 나타낼 수 있다아 점과 마찬가지로 선도 빽빽한 밀도를 가지고 구성되면 2차…(skip)
점선면에 대한 자료[건축] , 점선면에 대한 자료[건축]공학기술레포트 , 점선면 자료 건축
점선면에 대한 자료(資料)[건축]
점선면,자료,건축,공학기술,레포트
다. 점은 빽빽한 밀도를 가지고 구성되면 2차원적인 면으로 되는 성직을 가진다.
선은 점이 확장되거나 두점을 연결하여 이룬다.점선면에 대한 자료(資料)[건축]
순서
설명
![점선면에%20대한%20자료[건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C%A0%90%EC%84%A0%EB%A9%B4%EC%97%90%20%EB%8C%80%ED%95%9C%20%EC%9E%90%EB%A3%8C%5B%EA%B1%B4%EC%B6%95%5D_hwp_01.gif)
![점선면에%20대한%20자료[건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C%A0%90%EC%84%A0%EB%A9%B4%EC%97%90%20%EB%8C%80%ED%95%9C%20%EC%9E%90%EB%A3%8C%5B%EA%B1%B4%EC%B6%95%5D_hwp_02.gif)
![점선면에%20대한%20자료[건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C%A0%90%EC%84%A0%EB%A9%B4%EC%97%90%20%EB%8C%80%ED%95%9C%20%EC%9E%90%EB%A3%8C%5B%EA%B1%B4%EC%B6%95%5D_hwp_03.gif)
![점선면에%20대한%20자료[건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C%A0%90%EC%84%A0%EB%A9%B4%EC%97%90%20%EB%8C%80%ED%95%9C%20%EC%9E%90%EB%A3%8C%5B%EA%B1%B4%EC%B6%95%5D_hwp_04.gif)
![점선면에%20대한%20자료[건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EC%A0%90%EC%84%A0%EB%A9%B4%EC%97%90%20%EB%8C%80%ED%95%9C%20%EC%9E%90%EB%A3%8C%5B%EA%B1%B4%EC%B6%95%5D_hwp_05.gif)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점선면에 대한 자료[건축].hwp( 54 )
1. 점, 선, 면의 의미
점, 선, 면은 예술계에서 사용하는 가장 key point(핵심) 적인 기본 요소들이다.
2. 점의 기본형태
점은 정적이며, 방향이 없고 자기중심적이다.
현대 건축 표면의 복잡하고 다양한 이미지들도 점, 선, 면이 기준이 되는 배경으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들이 발생된다
점 : 형태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서 공간 내에서 위치를 지정한다
선 : 점이 확장되어 길이, 방향, 위치 등의 특징을 가진다
면 : 선이 확장되어 길이와 넓이, 형태, 표면, 방향, 위치 등의 특징을 가진다
부피 : 평면이 확장되어 위치와 넓이, 폭, 형태와 공간, 표면, 방향, 위치 등의 특징을 가진다.
그림 이누이 쿠미코의 오사카 루이비통
화면 전체에 복잡한 alteration(변화) 를 만들 수 있다아 점들의 크기나 형태 색과 면암 등이 다른 경우에는 다양한 패턴들이 발생된다 그 중에 점묘법은 다양한 모양과 색을 가진 점들이 바탕이 되어 하나의 모사적인 그림들을 창조한다.
그림 헤르조그 & 드 뮤론의 베이징 스타디움
다시 말해 점이 두 개 이상일 경우 점이 원래 정적인 반면, 선은 점의 이동행로를 나타내고, 시각적으로 방향을 표시하며, 이동, 성장 할 수 있다아
또한 선은 작품에서 표현의 대상이 기도 하다.
3. 선의 기본형태
선의 개념(槪念)으로는 선은 길이는 있지만 넓이나 깊이가 없다.
형태의 가장 기본적인 이 요소는 선의 양끝, 선의 교차부분, 면이나 볼륨이 모퉁이에 생기는 접합부분, 평면의 중앙과 같이 정의(定義)된다
개념(槪念)적으로 점은 형상이니 형태가 없지만 시각적 영역 안에 있을 때는 그 존재가 인식된다
環境의 중심이 되는 점은 안정되고 움직이지 않으며, 자기 자신과 그 주변 요소를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