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4.3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5 20:43본문
Download : 제주대 4.3의 이해.hwp
심지어 어떤 들은 제주에 이주한 뒤에야 4.3항쟁을 알게 되었고, 이 땅에 슬픈 history(역사) 가 있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고 했다. 이 날 평화롭던 기념식은 말을 탄 경관의 말발굽에 한 어린아이가 채어 쓰러지면서 성난 군중이 경찰을 쫓았고 바로 그 순간 총성이 울려퍼지게 되었다. 다만 너무도 가슴아프고 끔찍해서 책장을 넘길 떼마다 ‘아 제발~’ 하고 전율하게 된다된다. 작가의 삼촌은 1947년 3월 1일. 그러니까. 4.3이 있기 전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때 3.1절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싸늘한 주검이 되었다고 한다. 챌 뒷표지에 나와 있는 추천평에도 나와있듯이 history(역사) 가나 학자의 딱딱한 서술이 아니라 시인의 감성으로 사건을 전달하다 보니 일반인들의 마음 속에 더 큰 울림을 준 것 같다. 이런 연구서적 같은 책을 사실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읽기가 힘들다.
제주대,이해,감상서평,레포트
제주대 4.3의 이해
제주대 4.3의 이해
순서
설명
제주대 4.3의 이해 , 제주대 4.3의 이해감상서평레포트 , 제주대 이해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제주대 4.3의 이해.hwp( 79 )
‘제주 4.3을 묻는 너에게’를 읽고나서
우리 현대사의 비극 중 하나인 4.3 광주항쟁이 널리 알려진 반면 이상하게도 제주 4.3항쟁은 희미하게 알려진 것 같다. 실제 살아남은 사람들, 목격자들의 진술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그들과 함께 사건을 겪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현기영씨의 `순이삼촌` 들을 통해 문학적 형상화 속에 그려진 history(역사) 를 짐작해 보긴 했지만 마치 코끼리 다리 잡기처럼 사건의 일각만 그려질 뿐이었다. 관덕정에 울려퍼진 이 총성으로 6명의 주민이 죽었는데 젖먹이를 …(drop)
다. 최초의 희생자였던 셈이다. 이 책은 그동안 4.3항쟁을 자세히 알고 싶어서 수 많은 책을 찾아 봤지만 왜그리 딱딱하게 서술했는지, 마치 애를 써서 자신의 생각을 뺀 것 같은 교과서적 나열인 책이 대부분이었다.
나는 꽤 진보적인 시각에서 4.3항쟁을 알고 있다고 자부했지만 사실 누가 4.3에 대해 說明(설명) 해달라고 하면 참 난처했다.
이 책은 너무도 생생하고 너무도 자세하게 편집해 주고 있다 작가가 시인이면서 4.3항쟁의 유족이기도 한 점이 큰 것 같다. 일목요연하게 정리(整理) 가 잘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이런 내 속마음을 읽기라도 한 것 같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