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03:38본문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hwp
2) 정서법의 혼란상
<어두 합용병서의 혼란>
19세기에 오면 된소리 표기는 모두 된시옷으로 통일되는 경향 ( `ㅺ ㅼ ㅽ ㅾ` )이 뚜렷해지는데, 단 `ㅅ`의 된소리는 `ㅆ`이 아니라, `ㅄ`으로 통일되었다.
1) 체계상의 차이
15세기의 28자 문자 체계는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소실문자가 생겨남으로써, 사실상 25자 체계로 된다 (ㆆ ㅇ ㅿ자 제외)
① 방점 소실
16세기 후반의 일부 문헌에 이미 방점을 찍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었는데 17세기 초부터는 일반화되었다. 즉, `ㄷ ㅅ` 방향의 혼기라 압도적으로 많아지는 것이다. 15세기 중엽 이래의 정서법 전통은 극도의 혼란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평민문학의 대두로 인한 문자 사용의 확대가 이런 혼란을 촉진하였다. 이미 그 전통을 지킬 수 없을 만큼 언어가 현격히 變化(변화)되어 있었고, 또 임진란이라는 대전란이 그러한 전통과의 단절을 가져왔다.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
,인문사회,레포트
1. 중세국어 표기법
1) 음소적 원리
2) 음절적 원리
3) 사이시옷
4) 종성법
5) 띄어쓰기
6) 병서법
7) 연서법
8) 한글과 한자의 표기
2. 근대국어표기법
1) 체계상의 차이
2) 정서법의 혼란상
3. 현대국어 표기법
4. 중세국어의 특징
ⅰ) 중세 국어의 문법상의 특징
ⅱ) 어휘상의 특징
ⅲ) 음운상의 특징
ⅳ) 중세국어의 성조체계
ⅴ) 용비어천가
■ conclusion ■
2. 근대국어표기법
- 임진란 이전과 이후의 문헌들 사이에는 문자 체계와 정서법에 많은 차이가 난다.






설명
한글 표기법 변천사중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중세국어의 문법상의 특징과 어휘상의 특징, 음운상의 특징, 성조체계와 마지막으로 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중세국어를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정제되고 통일된 새로운 정서법이 다시 마련되지는 않았고, 따라서 혼란상태가 17세기를 거쳐 18, 19세기에 내려올수록 더욱 심해졌다. 이 때를 7종성의 태동기라 부를 수 있다
17세기 초반을 지나면 혼기의 방향이 그 앞 시기의 것과 반대의 방향으로 바뀐다.
② `ㅇ` 소실
16세기 `o`자의 사용은 종성에만 국한되었고, `ㅇ`자와 혼동되다가, 임진란 뒤부터는 완전히 `ㅇ` 에 합류되었다.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한글 표기법 변천사중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에 상대하여 알아보고, 중세국어의 문법상의 특징과 어휘상의 특징, 음운상의 특징, 성조체계와 마지막으로 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중세국어를 살펴봤습니다.
③ `ㅿ`소실
ㅿ자는 표기상으로는 16세기말까지 근근이 유지되었으나 17세기에 들어서는 아예 쓰이지 않게 되었다.
`ㅅ` 종성 통일기 : 17세기 후반에 오면 종성 자리에서 `ㄷ`이 자취를 감추게 된다 8…(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글 표기법 변천사 - 중세,근대,현대 국어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특징.hwp( 50 )
다.
<종성 `ㅅ`과 `ㄷ`의 혼동>
15세기에 있어서는 이 두 받침은 엄격하게 구별되었던 것인데, 16세기 특히 그 후반에 이 구별이 무너져서, 17세기에 들어서면 받침의 `ㅅ` 과 `ㄷ`의 선택은 매우 자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