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7 07:53본문
Download :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hwp
순서
설명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
레포트/의약보건
![[간호학]ICU%20syndrome%20문헌고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ICU%20syndrome%20%EB%AC%B8%ED%97%8C%EA%B3%A0%EC%B0%B0_hwp_01.gif)
![[간호학]ICU%20syndrome%20문헌고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ICU%20syndrome%20%EB%AC%B8%ED%97%8C%EA%B3%A0%EC%B0%B0_hwp_02.gif)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 ,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의약보건레포트 , 간호학 ICU syndrome 문헌
Download :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hwp( 21 )
간호학,ICU,syndrome,문헌,의약보건,레포트
Intensive care unit syndrome/delirium is associated with anemia, drug therapy and duration of ventilation treatment
A. 배경
★ ICU syndrome인 delirium은 집중 치료실에서의 care에 있어 잘 알려진 문제이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나이, 성, ventilator의 사용 기간, 재원 기간, 질병의 중상정도, 동맥혈의 산소화 정도, sedation을 위한 약물의 사용에 관한 data(자료)를 수집하고
ICU syndrome/delirium 의 발전에 影響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도중에 죽거나 설문에 참여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 최종 分析에는 19명의 대상자의 data(자료)가 참고 되었…(drop)
[간호학]ICU syndrome 문헌고찰
다.
주로 노인 분들에게 발생하며 재원기간이 길수록 발병은 증가한다.
이것은 혼돈과 섬망을 주호소로 한다.
이것은 집중 치료실 환자의 2~56%에서 나타나며
혼돈 및 섬망 상태에 대한 정확한 definition 로 측정(測定) 된다면 그 비율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 ICU syndrome/delirium 의 병리학적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것의 발전에 影響을 미치는 몇몇의 요소는
이전의 정신과적 문제(즉, 질병 발생으로 인한 것. 집중 치료실의 care와 관련되어 발생한 것)
신체적 요소 (혈액학적 요소 혹은 뇌의 기능에 影響을 미치는 약물의 사용)
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B. 방법
★ 31명의 ICU 환자를 대상으로 observation 및 인터뷰하였음
observation기간은 weaning 과정에서부터 extubation 후 수일 동안 이었으며
환자 인터뷰는 병동으로 간 후 6~10일(1차). 퇴원 후 4~8주(2차) 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ventilator를 하고 있는 자로
의식이 없는 환자(두부 손상, cardiac arrest, metabolic 혹은 약제로 인한 혼수, 알콜 중독자, 정신과 질환의 과거력 가진자, 청력에 문제 있는 자)는 제외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