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21:54
본문
Download : 장화홍련전.hwp
한편 창작연대는 두 가지 학설이 있따 김태준은 <實談先行說>로 全東屹이라는 실제 인물의 實談을 기초로 한문본이 1698년 혹은 1758년에 창작되었고 이 한문본에 근거하여 한글본이 이후에 번역 창작되었다고 보고 있따
이에 비해 全聖鐸은 <한글본先行說>을 주장한다. 우선 그는 「嘉齋事實錄」에 실려있는 <장화홍련전> 말미의 기록을 중요시하여 한글본이 선행함을 밝히고 있따
Ⅱ. 구성적 특징
1.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
1) 박성의 : `韓國古代小說論과 史`에서 - 인물중심, 설화형식, 전기적구성
대부분의 고대소설을 보면 그 구성이 대개 4단계로 되어 있으니 漢詩의 起, 承, 轉, 結에 해당시킬 수 있따 즉,
2) 鄭鉒東 : `古代小說論`에서 ‘플롯론’이라는 장을 설정하여 동적인 상태와 정적인 상태로 설명(explanation)
⇒ 하나의 공통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한 일대기로서 出生 → 苦行 → 回運 → 幸福의 4단계 구성이라고 할 수 있따
2. <장화홍련전>의 구성적 특징
1) 작품 전개
조선국 평안도 철산에 배무룡이라는 좌수를 지내던 자가 있었는데 그는 一點血肉이 없어 근심하던 중 일일은 부인이 몽중에 선관이 下授한 꽃 한송이를 받은 후 태기가 있어 玉女를 순산하니 이름을 장화라 했고, 2년 후 다시 득녀하니 홍련이라 했다.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설명
순서
장화홍련전의 개괄적 내용과 소설의 분류, 이본, 작품의 구조와 인물들, 그리고 작품의 공간과 꽃과 물에서의 죽음, 주제의 의미에 대상으로하여 정리(整理) 했습니다.
장화홍련전






Ⅰ. 개괄
1) 분류
2) 연구사
3) 이본
4) 작가와 창작연대
Ⅱ. 구성적 특징
1.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
2. <장화홍련전>의 구성적 특징
Ⅲ. 인물의 성격적 특징
1. 亡母의 慈愛性 - 인간의 본성적 모성애
2. 계모의 暮惡性 - 존재 의미 상실로 인한 계모의 파괴
3. 父의 愞弱性 - 체면 우위의 배좌수
4. 자녀의 진취성 - environment(환경) 에 순응한 건설적 타협
Ⅳ. 작품의 의미
1. 작품의 공간의 의미
2. 꽃의 의미
3. 물에서의 죽음의 의미
4. 작품 주제의 의미
3) 이본
<장화홍련전>의 이본은 크게 한글본, 한문본, 국한문본, 개작본의 네가지로 나눌 수 있따 한글본에는 필사본, 목판본, 신활자본이 있는데 한글본은 다시 8종으로, 목판본은 3종으로 신활자본은 학자에 따라 10-20여종으로 보고 있따 한문본은 朴慶壽本과 朴仁壽本 두 가지가 있따 국한문본으로는 1종이 확인되고 개작본은 2종이 있따
4) 작가와 창작연대
<장화홍련전>의 작자를 알 수 있는 이본은 한문본밖에 없다. 김태준이 주장한 朴慶壽와 다른 한문본을 창작한 朴仁壽 두 사람이다. , 장화홍련전감상서평레포트 ,
다. 그런데 돌연히 모친 장씨가 득병하여 세상을 떴다. 그 후 배좌수는 허씨와 재혼을 하여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장화홍련전.hwp( 41 )
장화홍련전의 개괄적 내용과 소설의 분류, 이본, 작품의 구조와 인물들, 그리고 작품의 공간과 꽃과 물에서의 죽음, 주제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