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제자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9 01:06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hwp
4.사성점(四聲點)
1.자음(초성)자의 제자원리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초성자는 모두 17자이다.
1.세종대왕 상(賞)
Ⅱ.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레포트 > 기타
훈민정음 제자원리는 <훈민정음>해례편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창제 내면적인 논리라 생각된다 아마 동양철학적이며 과학적인 그들의 논리에 놀랄 것이다. 그럼 이제 그들의 제자원리를 통해 알아보자.
2.모음(중성)자의 제자원리
1.자음자(초성자)의 원리
Ⅰ. 머리말
Ⅳ. 맺음말
Ⅲ.한글의 세계적 위상
훈민정음의제자원리 한글의세계적 위상 글자의운용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Ⅱ.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미국 과학전문잡지 디스커버호
다. 해례편은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의 꼬리말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정음의 제자원리를 알기에는 제자해만으로 충분히 가능하였다. 음성 기관의 정밀한 watch은 말할 것도 없고, 소리의 성질에 대한 정확한 watch도 놀라울 정도이다. 그러나 ᅌ은 다르다(소리에 따라 획수를 더한 것이 아니란 뜻). 반혓소리자 ㄹ과, 반잇소릿자 ᅀ도 또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떴는데, 그 체형은 다르게 하였으나, 획수를 더한 뜻은 거기에 없다. 3.글자의 운용
순서
훈민정음의제자원리 한글의세계적 위상 글자의운용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설명
훈민정음의제자원리 한글의세계적 위상 글자의운용
Download : 훈민정음.hwp( 38 )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가 남이 조금 세므로 획수를 더하였는데,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ㅌ에서 ㅁ,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 에서 ㅎ으로, 그것이 소리에 따라 획수를 더하는 뜻은 모두 한가지이다. 어금닛소릿자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본떴고, 혓소릿자 ㄴ은 혀가 웃잇몸에 붙는 꼴을 본떴으며,입술소릿자 ㅁ은 입의 모양을 본떴고, 잇소릿자 ㅅ은 이전체의 모양을 본떴으며, 목구멍소릿자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