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co.kr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 java7 | java.co.kr report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 java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7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1:09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hwp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익재(益齎) 이제현으로부터 `소악부(小樂府)`란 명칭이 처음 되었는데, 이는 당시 그가 유행하던 민간의 노래를 7언절구의 짧은 한시 형식을 사용하여 옮…(ski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 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 소악부 급암 민사평 소악부
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 권4에 11편이 실려 전하는데, 앞의 9편은 `소악부`라는 題目(제목)으로 『고려사』악지에 그 題目(제목)과 설명(explanation)이 실려 있는 노래이고, 뒤의 2편은 `민사평`에게도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목차`

1. 명칭
2. 형성배경
3. 익재(益齎) 이제현의 소악부
4. 급암(及庵) 민사평의 소악부
5. 의의
1. 명칭

악부(樂府)는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후대에는 악부(樂府)에서 채록한 시가를 `악부(樂府)` 라고 부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익재(益齎) 이제현으로부터 `소악부(小樂府)`란 명칭이 처음 되었는데, 이는 당시 그가 유행하던 민간의 노래를 7언절구의 짧은 한시 형식을 사용하여 옮겼기 때문에 `소(小)`자를 붙여, `소악부(小樂府)`라 한 것이다.

Download :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hwp( 62 )




인문어학,고려조,소악부,小樂府,명칭,형성배경,익재,이제현,소악부,급암,민사평,소악부,인문사회,레포트
[인문어학]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명칭, 형성배경,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의의)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1.gif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2.gif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3.gif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4.gif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5.gif [인문어학]%20고려조%20소악부(小樂府)%20(명칭,%20형성배경,%20익재%20이제현의%20소악부,%20급암%20민사평의%20소악부,%20의의)_hwp_06.gif

설명



`고려조 소악부(小樂府)`

`목차`

1. 명칭
2. 형성배경
3. 익재(益齎) 이제현의 소악부
4. 급암(及庵) 민사평의 소악부
5. 의의
1. 명칭

악부(樂府)는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후대에는 악부(樂府)에서 채록한 시가를 `악부(樂府)` 라고 부르게 되었다.
전체 22,65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