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9 06:31
본문
Download :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hwp
(3) 방자의 사설을 점잖고 충실한 노복으로 행동시켰다. 신재효판소리사설춘향가 ,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순서
신재효판소리사설춘향가
레포트/인문사회
판소리 사설 춘향가
(1) 춘향가의 성격
이 작품은 신재효의 여섯 마당의 하나다.
(마)일사본: 순한글본. 단「을」을「을」로 썼고, 시가양식으로 쓴 것과 간혹 한문으로 병서한 것 등이 일사본의 특징이다.
(5) 방자가 춘향을 부르지 못하고 돌아오니 도령은 오히려 춘향의 행실을 칭찬하고 오언일구를 적어 주니 춘향도 오언일구로 답례하여 둘이 만나지 아니한다. . 오십팔장. 동창본의 가람 자필본이다. 남창을 성인의 문학이라고 한다면, 동창은 동심의 문학이라 할 수 있따 여창은 남창과 동창이 지니고 있는 성격적인 작품 경향으로 미루어 보아서 서민 부녀의 문학이었을 것이 추측된다
남창
김동욱교수는 남창 춘향가가 성인의 문학, 곧 그 중에도 장부의 문학이라는 점을 설명(說明)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예거하고 있는데, 그 논술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용지 규격은 남창과 동일하다.
(6) 이도령을 찾아간…(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hwp( 26 )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소위 이차본.
(다)새터본: 삼십칠장. 순한글본 즉 소위 일차본을 대교하여 병서해 놓았다. 서지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본들이 있따
(가)성두본(A): 순한글본이다.
(4) 춘향이 이지적이며 광한루에 오지 아니하고 향단을 시켜 도령의 선을 보게 한다. 출간한 바 있따
(라)가람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가람문고 중 「신오위장본집일」에 수록되어 있따 남창은 국한문체. 매면 십행의 청선미농괘지의 필사.(24cm×16cm) 가람 자필은 아닐것이다. 사십삼장. 표지에 「동리 신재효작 춘향가 남창」이라 썼고, 리표지에는 「소강남모양군동리선생저작」이라 씌어있따
신재효는 그의 판소리 사설(타령) 여섯 마당 중, 춘향가를 작품 성격에 따라서 남창, 여창, 그리고 동창의 세 형으로 썼다.
다. 남창과 동창은 사본에 의하여 전하여 오지만 여창은 지금까지 그 작품이나 사본을 볼 수가 없어서 섭섭함을 급할 길이 없다. 일명 신씨가장본. 소위 일차본.
(나)성두본(B): 국한문체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