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회 -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4:25본문
Download : 고려사회 -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hwp
고려사회 -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
Download : 고려사회 -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hwp( 17 )
Ⅰ.서론
Ⅱ.본론
(1)분할적 형태의 재정·경제구조
(2)전업적· 분업적 형태의 신분·직역 구조
(3)벌집구조의 사회구성, 군현제와 부곡제
Ⅲ.結論(결론)
전제와 역제가 일치한 사회
고려시대에 다양한 토지지목이 존재했던 것은 국가에 역 고려시대의 역이란, 흔히 알고 있듯이 일반백성들이 국가에 대해 의무적으로 지는 각종 공사나 공물 운반 등의 요역이나, 전쟁에 동원되는 군역과는 다른 뜻으로서, 자기의 능력이나 기능에 따라 국가의 관료행정 조직에 참여하는 직역(職域)을 뜻한다.다원사회[1]1 , 고려사회 -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법학행정레포트 ,
다. 이것은 분할적인 재정운영 방식, 즉 국가 재정운영의 절반 이상을 국가가 직접 운영하지 않고 개인이나 관청에 위임해서 분할적으로 운영했던 방식이 근본 요인이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분할적 재정운영이 이루어진 이유는 지역 간 발전격차가 컸기 때문이었다. 즉, 고려사회는 이른바 전제(田制)와 역제(役制)가 일치하는 사회였던 것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에는 농지 개간 확대를 통해 지역간 발전 격차를 해소하여 균형발전을 이루는 것이 더 큰 정책goal(목표) 가 되었다.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다원사회[1]1
설명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위의 책, p.165.
을 지는 사람에게 그 대가로 반드시 토지를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었다.
전시과를 지급 받은 관리 가운데 개인 소유지가 있는 경우 지급된 액수만큼 조세를 면제하는 형식으로 수조권 대신 면조권(免租權)을 부여하기도 했는데, 이는 직역 부담자가 자기 토지를 안정적으로 경작하고 묵은 땅을 방치하지 않고 개간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분할적인 재정운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투비컨티뉴드 )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조선시대와 같이 상경농법이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황무지화되는 토지도 많았고, 수리시설의 유무에 따라 생산력의 격차도 많았다.
조선시대와는 달리 고려시대에는 역을 지게 되면 반드시 토지를 지급하였고, 역의 내용에 따라 지급된 토지지목도 달랐기 때문에 다양한 토지지목이 나오게 되었다. 현지 관청이나 개인에게 토지를 지급하여 경작한 소득으로 운영비용을 충당하게 한 분할적 재정운영 방식은 이러한 이유에서 진행된 것이었으며, 부곡제의 편성과 전시과제課題도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의 충분하지 않았던 교통로 내지 유통로의 존재도 분할적 재정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