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4:44본문
Download :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pptx
_SLIDE_1_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變化(변화)
_SLIDE_2_
Index
1. 대북안보의식의 정의(定義)와 구성내용
2. 대북안보의식 형성요인
3. 정권별, 시대별 국민안보의식
4.대북 안보의식의 展望(전망) 과 시사점
_SLIDE_3_
1. 대북안보의식의 정의(定義)와 구성내용
정의(定義)
_SLIDE_4_
1. 대북안보의식의 정의(定義)와 구성내용
(2)구성내용
상황에 따라 걸림돌/ 주춧돌이 됨
궁극적으로 국가유지와 발전에 필수적
국가발전에
걸림돌인가
직접적 요인
대외적 요인
안보위협요인인가
내부단결을 위한 심리전술일 가능성
언제나 군사도발 가능성 존재
도발가능성은
_SLIDE_5_
2. 대북안보의식 형성요인
북한요인
대북안보의식
형성요인
집권정부의
성향
안보교육
정치권 및 사회분위기
국제정세
도발의 강도와 빈도는 대북안보의식과 비례
대북강경정책일 때 대북안보의식 강화
안보교육이 자주, 널리 실시될수록 강화
총선이나 대선 시기에 분열 조장
동북아의 국제정세에 따라 안보의식 變化(변화)
_SLIDE_6_
3. 정권별, 시대별 국민안보의식
(1)1980년대 이전(이승만-박정희 정부)
-높은 수준의 대북안보의식
-1950-60년대 ‘북진 통일, 멸공 통일’과 ‘반공정책’
-1970년대 ‘남북 적십자 회담’, ‘74 남북 공동 성명’ : 긴장 완화
‘북한 간첩 문제’, ‘판문점 만행사건’: 다시 대북 안보 의식 강화
1~3대 이승만 4대 윤보선 5~9대 박정희 10대 최규하
_SLIDE_7_
3. 정권별, 시대별 국민안보의식
(2) 1980-1990년대 이전(전두환-노태우 정부 초반)
-전두환 정부 시기는 종전의 시대와 별 차이 없었음
-1980년대 중반 경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 대북안보의식 다소 낮아짐
-1987년 11월 29일 `KAL기 폭파사건‘ 이후: 안보의식 고조
…(생략(省略))






대북안보의식,형성과,변화,인문사회,레포트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
순서
설명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 ,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인문사회레포트 , 대북안보의식 형성과 변화
Download :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pptx( 41 )
대북안보의식의 형성과 변화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