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definition 및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6 22:43본문
Download : 지식경영정의및사례.hwp
즉, 정보란 수동적으로 사실 그대로를 받아 들이는 정태적인 것이며, 지식이란
정보를 받아들인 사람이 주체적으로 가공하고 판단하는 능동적인 과정까지
포함하는 동태적인 定義(정이) 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와 같다. 여기에 기술적인 뒷받침을 가지면 실용적인 지식이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여기에 다시 현장경험, 노하우 등이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 된다
지식관리 시스템에서 지식이란 구성원 개개인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학문적 지식, 실용적 지식, 현장 경험지식으로 구분하며 각종 事例, 경험
등을 포함한 제반의 자료(資料) 및 정보를 말합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알고 있다라고 하는 것은 theory 적 지식에 불과
하다.
- 기술 혁신 및 독창적인 기술개발 지식,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 고객 지식을 공유하여 창출하는 새로운 지식(성공, 실패事例)
- 기업제휴로 공유된 지식과 공동 창출되는 새로운 지식
- 제품 창조 및 관련지식(개발기술, 노하우, 고객, 제품 제안서, 보고서 등)
- 지적 기반지식(미래예측, 경영프로그램(program]) )
나. 지식과 정보의 차이
지식과 정보는 흔히 혼동하기 쉬운 定義(정이) 중의 하나이다.
지식창조의 매체는 정보이며, 정보를 얻고, 사고와 경험을 통해서 체계화 하여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이 지식이…(생략(省略))






지식경영정,사례,경영경제,레포트
순서
다.
Download : 지식경영정의및사례.hwp( 61 )
지식경영정의및사례 , 지식경영정의및사례경영경제레포트 , 지식경영정 사례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지식경영definition 및사례
지식경영definition 및사례
지식경영 定義(정이) 및 事例
1. 지식이란?
가. 지식의 定義(정이)
지식의 사전적인 의미는 어떤 대상을 연구하거나 배우거나 또는 실천을 통해
얻은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이다.
알고 있다는 사실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가치관 ,인생관 및 조직의 目標(목표)의식과
연관된다
정보라는 정적인 요소에 구체적인 요소에 행동으로 이행할 수 있는 믿음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의미라고 할 수 있다아 지식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은 살아 있는
지식이다. 정보란 단편적인 현상을
가리키는 반면에, 지식은 확실한 인과 관계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다. 지식이란 단순히 알고 있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