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09:45
본문
Download :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hwp
설명
Download :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hwp( 61 )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 ,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인문사회레포트 , 획일화된 방송문화 한계
순서
획일화된 방송문화의 한계
획일화된,방송문화,한계,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획일화된 방송文化(culture) 의 한계
드라마로 처음 된 ‘한류 열풍’은 이제 그 주인공이 아이돌 가수들로 바뀌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과거의 그 많던 스타(특히 가수)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70, 80년대는 말할 것도 없고, 90년대 스타들 중 현재 활발히 활동 하는 스타들은 손에 꼽을 수 있을 지경이다. 시청자들은 상품을 고르는 손님이다. 이들은 이미 열정을 잃어버려서 그저 왕년의 스타였던 것에 만족하며 지내고 있는 걸까. 물론 그럴 수도 있다아 앞만 보고 달리던 젊은 시절에 비해 슬슬 힘이 부치고 지쳐서 현실에 안주하고 있을는지도 모른다. 방송에서 시청률이라는 통계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상상 이상이다. 방송에서의 모든 것은 이 통계수치를 높게 만들기 위해 구성되고 없어진다. 해외에서도 상황이 이러한데 국내는 오죽 하겠는가, 잠시 TV앞에 앉아서 채널을 돌리다보면 가요 호로그램, 드라마, 예능을 넘나들며, 공중파, 케이블 가리지 않고 등장하는 아이돌들과 만날 수 있다아 예쁘고 잘생겼으며 다재다능하기까지 한 이들은 각종 방송에서 물 만난 고기처럼 활약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궁금하다. 물론 그 상품들이 예전에 비해 잘 안 팔리기 처음 하였지만, 여전히 꾸준한 수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동시에 우리들도 선택권을 잃어버렸다. 그들은 설자리를 잃어버렸다. 실제로 이들의 방송을 보고 있노라면 재밌고 유쾌하다. 어느 날, 주인은 새로운 상품을 들여 놓으며 예전 상품을 진열대에서 치워버린다. 그러나 이것은 결과론적인 conclusion(결론)이다. 다양성은 다른 수많은 하찮은 옵션들 중 하나일 뿐이다. 대부분은 가끔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옛날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 출연 할 뿐이다. . 진짜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아시아는 물론이고 심지어 미국에서까지 한국 아이돌 가수들의 활약이 굉장하다고 한다. 다른 어떤 분야보다 유행에 민감한 것이 방송이라지만, 획일적인, 주류의 文化(culture) 만을 만드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는 좀 …(투비컨티뉴드 )
다.
예를 들어보면, 방송사는 매장 주인이며, 스타들은 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