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학 상담 요약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4 13:15
본문
Download : [교육학] 상담 요약.hwp
1) 칭찬거리를 찾는 교사의 눈
2)긍정적 수용의 표현
교육학 상담 요약자료(資料)
- 자아관념이 형성되는 초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칭찬을 충분히 받지 못한 학생이 긍정적인 자아관념과 높은 자아 존중감을 가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4) 집단지도의 형태
- 온정 : 학생에게 따뜻한 마음을 갖는 것, 초등학교 교사가 풍기는 분위기를 통하여 전달
<중략>
<중략>
- 상황과 문제를 항상 다른 관점에서 볼 줄 아는 상담자의 시각은 교사로서 칭찬거리를 찾는데도 매우 유용하다.
다.
2) 집단지도의 goal(목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집단지도는 소집단, 학금단위, 학년 단위 등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개인적, 사회적, 학업적 발달을 촉진하고 문제를 예방하며 건강한 adaptation(적응) 을 조력하기 위한 활동이다.
3) 집단지도의 내용
- 긍정적 수용의 태도를 위해 비언어적인 부분 매우 중요. 즉, 얼굴 표정, 제스처, 말하는 자세, 목소리, 몸짓 등
1. 집단 지도
1. 초등학교 교사의 긍정적 수용
1)긍정적 수용
- 긍정적 수용은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나 입장을 가리킨다. 장. 칭찬법 • 꾸중법
순서
2. 어떻게 칭찬할 것인가
![[교육학] 상담 요약-1816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6/%5B%EA%B5%90%EC%9C%A1%ED%95%99%5D%20%EC%83%81%EB%8B%B4%20%EC%9A%94%EC%95%BD-1816_01_.gif)
![[교육학] 상담 요약-1816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6/%5B%EA%B5%90%EC%9C%A1%ED%95%99%5D%20%EC%83%81%EB%8B%B4%20%EC%9A%94%EC%95%BD-1816_02_.gif)
![[교육학] 상담 요약-1816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6/%5B%EA%B5%90%EC%9C%A1%ED%95%99%5D%20%EC%83%81%EB%8B%B4%20%EC%9A%94%EC%95%BD-1816_03_.gif)
![[교육학] 상담 요약-1816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6/%5B%EA%B5%90%EC%9C%A1%ED%95%99%5D%20%EC%83%81%EB%8B%B4%20%EC%9A%94%EC%95%BD-1816_04_.gif)
![[교육학] 상담 요약-1816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6/%5B%EA%B5%90%EC%9C%A1%ED%95%99%5D%20%EC%83%81%EB%8B%B4%20%EC%9A%94%EC%95%BD-1816_05_.gif)
(2) 존중과 무조건적임
- 자기졀정능력을 존중, 촉진
② 학생의 change(변화)를 주시한다. - 자신에 대한 긍적적 기대를 가지게 하고 희망을 보게함.
설명
장 수용, 공감, 진정성
2) 학생 개인 내에서 칭찬거리를 찾는다.
(1)온정과 보살핌
- 학교environment(환경) 의 이해, 학생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자신과 타인의 행동에 대한 이해,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능력 신장,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술의 증진, 학습전술과 기술의 습득, 진로인식과 장래교육 계획 준비,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참여증진 등
한 인간으로서의 그와 그의 개별적인 특정한 행동을 구분해야함. 인간으로서 수용, 개별적인 특정행위와 행동방식을 거부
1. 무엇을 칭찬할 것인가
교육학 상담 요약자료
14장 집단지도와 집단상담
1) 집단지도의 의미
3) 결과보다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 집단지도는 아동의 개인적, 사회적, 학업적 영역 및 진로 발달 영역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내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따
교육학 상담
- 보살핌 : 학생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자 하는 노력
- 정규교과 수업시간, 재량활동 시간, 특별활동 시간, 모두 활용가능.
- 존중 : 학생을 교사와 같은 똑같은 가치를 가진 사람이라고 봄
Download : [교육학] 상담 요약.hwp( 79 )
- 훌륭한 교사는 학생의 칭찬거리를 적극적으로 찾는다.
3) 긍정적 수용의 효능
- 교과교육과는 다른형태, 강의, 토론, 현장견학, 역할놀이, 시뮬레이션이나 게임, 독서나 시청각 교육 프로그램의 시청 등 다양한 교육방법.
- 과정에 초점을 두는 칭찬을 받으면, 특히 학생이 흔히 ‘실패’라고 부를 만한 경험을 했을 때도 이해받고 인정받는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며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자아관념을 발전시킬 수 있따
[교육학] 교육학 상담 요약 입니다.
① 개인의 여러 가지 property(특성) 중에서 다른 점에 비해 더 나은 점을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