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1:55
본문
Download : 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hwp
제어회로에서는 전자접촉기 MCF와 MCR이 동시에 여자 되면 주 회로에 단락을 일으키게 되므로 2개의 전자 접촉기는 인터록(Inter lock)을 걸어 절대로 동시에 여자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그림에서 MCF는 정회전용 전자 접촉기이고 MCR은 역회전용 전자 접촉기이다. 정회전용 전자 접촉기 MCF가 여자되면 전원의 R상은 전동기의 U단자에, S상은 V단자에 T상은 W단자에 접속 되어 정 회전 운전을 한다면, 이번에는 역회전 전자접촉기 MCR이 여자되면 R상은 W단자에 T상은 U단자에, S상은 그대로 V단자에 접속되어 결국 R상과 T상의 전원이 바뀌어 공급 되게 되어 역회전한다.
또 전동기의 과부하에 대상으로하여는 정 회전, 역회전 운전이 똑같은 조건이므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전동기 바로 앞에 1개만을 설치하여 정회전 운전이나 역회전 운전 시에 부하전류가 흐르도록 해준다.
삼상 유도전동기를 정 회전 운전으로부터 역회전 운전으로 전환하자면 전동기를 일단 정지 시키고 전동기에 공급되는 3선중 2선을 서로 바꾸어 전원을 공급해 주면 유도전동기는 역 회전 하게 된다
그림은 두 개의 전자 접촉기를 써서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압의 상순을 바꾸는 기본적인 회로이다.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
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 , 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기타레포트 , 전기과 유도 전동기 정역 운전회로
레포트/기타
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
설명
Download : 전기과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hwp( 73 )
유도 전동기의 정역 운전회로
엘리베이터, 천정 크레인, 수문 등과 같이 왕복운동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은 유도 전동기를 정, 역 운전 시켜서, 그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a) (b)
(a)는 정 회전 운전 중에 역전시키려면 반드시 STOP(STP)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러 전동기를 정지시킨 후에 역전 측 푸시버튼 스위치를 누르도록 되어 있는데 반해,
그림 (b)는 START 푸시버튼스위치에 1a 1b용 스위치를 사용하여 정전운전에서 STOP 푸시버튼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도(b접점으로 상대의 여자를 풀 수 있어) 역전 운전을 할 수 있따…(투비컨티뉴드 )
전기과,유도,전동기,정역,운전회로,기타,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