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5:55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hwp
세조의 명으로 당시 편찬에 종사한 사람은 신미(信眉)수미(守眉)설준(雪竣)홍준(弘濬)효운(曉雲)지해(智海)해초(海超)사지(斯智)학열(學悅)학조(學祖) 등의 고승과 유학자인 김수온(金守溫) 등 11명으로, 이들은 당대의 불학(佛學)을 대표하는 선지식(善知識)들이었다. 내용은 《월인천강지곡》의 각절(各節)은 본문이 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의 《석보상절》은 주석(註釋)같이 하여 엮어졌다. 원본이 완전히 전하지 …(省略)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1.gif)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2.gif)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3.gif)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4.gif)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5.gif)
![[인문어학]%20월인석보%20월인석보%20창작%20월인석보%20편찬동기%20월인석보%20표기상%20특징%20월인석보%20한자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9B%94%EC%9D%B8%EC%84%9D%EB%B3%B4%20%EC%B0%BD%EC%9E%91%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8E%B8%EC%B0%AC%EB%8F%99%EA%B8%B0%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1%9C%EA%B8%B0%EC%83%81%20%ED%8A%B9%EC%A7%95%20%EC%9B%94%EC%9D%B8%EC%84%9D%EB%B3%B4%20%ED%95%9C%EC%9E%90_hwp_06.gif)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 ,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
설명
순서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월인석보,월인석보,창작,월인석보,편찬동기,월인석보,표기상,특징,월인석보,한자,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문어학] 월인석보 월인석보 창작 월인석보 편찬동기 월인석보 표기상 특징 월인석보 한자.hwp( 65 )
월 인 석 보
1. 창작
1457년(세조 3년)에 왕세자였던 도원군(桃源君)이 죽자 임금은 이를 애통히 여겨 부왕과 죽은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근 2년 동안에 걸쳐 증보(增補) 수정하여 간행하였다. 세조의 명으로 당시 편찬에 종사한 사람은 신미(信眉)수미(守眉)설준(雪竣)홍준(弘濬)효운(曉雲)지해(智海)해초(海超)사지(斯智)학열(學悅)학조(學祖) 등의 고승과 유학자인 김수온(金守溫) 등 11명으로, 이들은 당대의 불학(佛學)을 대표하는 선지식(善知識)들이었다. 원본이 완전히 전하지 않아 당초 몇 권으로 되어 있었는지 명확하지 못하나, 1995년 말에 권25가 발견됨으로써 월인석보는 총 25권임이 밝혀졌다. 내용은 《월인천강지곡》의 각절(各節)은 본문이 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의 《석보상절》은 주석(註釋)같이 하여 엮어졌다.
2. 편찬 동기
편찬 동기는 1457년(세조 3년)에 왕세자였던 도원군이 죽자 임금은 이를 애통히 여겨 부왕과 죽은 아들의 명복을
월 인 석 보
1. 창작
1457년(세조 3년)에 왕세자였던 도원군(桃源君)이 죽자 임금은 이를 애통히 여겨 부왕과 죽은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근 2년 동안에 걸쳐 증보(增補) 수정하여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