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co.kr 조직신학 기독론 > java4 | java.co.kr report

조직신학 기독론 > java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4

조직신학 기독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8 14:13

본문




Download : 조직신학 기독론.hwp




히브리어 “메시아”와 같은 의미로, 이는 히브리어 “마사” 동사(기름붓다)의 수동태 명사형이다. 그로 인해 거룩한 존재로 구별되고, 성령의 임재를 상징하게 된다

3) 인자(그 사람의 아들)
“그 사람의 아들(호 휘오스 투 안드로푸)”이라는 표현은 예수께서 자신을 지칭하실 때 쓰셨던 용어이다.

2) 그리스도
그리스도란 “기름부음을 받은 자”란 뜻이다.
기독론




조직신학 기독론에 대한 글입니다. 이렇게 이례적인 언어의 용법으로 예수께서 자신의 인격을 드러내신 것에는 아멘의 용법이 있다 여하튼, 예수께서는 이를 통해 자신이 다니엘 7:13에 나타나는 구름을 타고 오는 인자로서 오셨음을 나타내셨고, …(drop)


레포트/기타


Download : 조직신학 기독론.hwp( 65 )



순서








,기타,레포트
조직신학 기독론에 대한 글입니다. 구약시대에는 왕과 제사장이 기름부음을 받았다(출 29:7, 레 4:3, 삿 9:8, 삼상 9:16, 10:1, 삼하 19:10). 선지자가 기름부음을 받았다는 것은 열왕기상 19:16에 한 번 기록되었으나, 시편 105:15, 이사야 61:1에 이와 관련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 기록이 있다 기름을 붓는 것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께 바치는 것을 의미했다. .

1) 예수
이는 히브리 이름 여호수아, 또는 예수아의 헬라어 이름이다.
설명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1.gif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2.gif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3.gif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4.gif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5.gif 조직신학%20기독론_hwp_06.gif
조직신학 기독론
2. 그리스도의 명칭

신론에서도 하나님의 이름을 연구함으로써 그 존재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받았듯이, 기독론에서도 그리스도의 명칭을 살핌으로써 그 인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으려는 시도가 있다 이러한 작업이 그리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히브리 전통에서는 어떤 사람의 이름에 단순한 구별을 위한 것 외에 여러 의미가 포함된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작업이 의미없는 것은 아닐것이다. 이 이름은 “구원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마 1:21). 구약에서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여호사닥의 아들 여호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 또는 예시로서 존재한다. 반드시 정관사 “호”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매우 이례적인 용법으로, 당시에 어떤 사람도 이런 말로 일인칭 대명사를 대신하지 않았다.기독론 , 조직신학 기독론기타레포트 ,
다. “기름붓다”라는 의미의 “크리오” 동사의 수동태 남성명사형이다.
전체 23,40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