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report) ] 다구의 종류+사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0:52본문
Download : [레포트] 다구의 종류+사진.hwp
2. 퇴수기 (물버리는 그릇)
퇴수기는 흔히 버리개라고 하며 다관과 잔을 데운 물을 버리거나 다관을 엎어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으로 입구가 넓어야 한다. 지나치게 휘이면 물줄기가 휘이고, 밋밋하면 반드시 찻물을 끊을 때 물이 흘러내린다. 직접 물을 따라보고 사는 것이 좋겠지만, 다기를 고를 때 여건이 그렇지 못하다.
3.다관 (차우리개)
끓여서 알맞게 식힌 물과 차를 넣어 우려내는 주전자. 다기를 선택할 때 가장 잘 골라야 하는 것이 다관이다. 구멍이 큰 것보다 작은 것이 좋…(省略)
다. 다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은 불편을 느끼게되는 것은, 물이 다관의 부리를 타고 줄줄 흘러내리는 것이다. 칠을 한 나무그릇이나 금속, 프라스틱이 가볍고 씻기가 좋고 도자기도 쓴다. 또 새의 목처럼 생긴 그곳이 알맞은 곡선을 이루어야 한다.도자기로 된 것이 많이 유통되며, 전기로 물을 끓이는 것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아 찻물을 끓이는 솥으로 무쇠솥, 곱돌솥, 약탕관 등이 사용되나 곱돌솥이 제일 좋다. 무쇠솥은 녹이나고 냄새가 나기 쉬우나 돌솥은 돌속에 천지의 수기가 엉겨 있다가 탕을 끓일 때 녹아 나와 차와 함께 어울려 맛을 싱그럽게 한다. 차관에서 물을 따르는 부분인 부리가 몸체에 올려 붙지도 내려 붙지도 않아야 한다.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레포트(report) ] 다구의 종류+사진
Download : [레포트] 다구의 종류+사진.hwp( 29 )
순서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레포트]%20다구의%20종류+사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B%A4%EA%B5%AC%EC%9D%98%20%EC%A2%85%EB%A5%98+%EC%82%AC%EC%A7%84_hwp_01.gif)
![[레포트]%20다구의%20종류+사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B%A4%EA%B5%AC%EC%9D%98%20%EC%A2%85%EB%A5%98+%EC%82%AC%EC%A7%84_hwp_02.gif)
![[레포트]%20다구의%20종류+사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B%A4%EA%B5%AC%EC%9D%98%20%EC%A2%85%EB%A5%98+%EC%82%AC%EC%A7%84_hwp_03.gif)
[레포트] 다구의 종류+사진 , [레포트] 다구의 종류+사진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 다구 종류+사진
[레포트(report) ] 다구의 종류+사진
레포트,다구,종류+사진,공학기술,레포트
다구의 종류
1. 탕관 (물끓이는 솥)
찻물을 끓이는 용기로 형태에 따라 다리가 달린 다정(茶鼎), 다리가 없는 다부(茶釜), 주전자형의 철병(鐵甁) 등이 있다아 재료에 따라 금제, 은제, 동제, 철제, 옹기, 석기 유리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무쇠나 구리로 만든 것은 녹슬기 쉽고 금이나 은으로 만든 것은 지나치게 사치스러워, 열의 전도는 느리지만 물이 쉽게 식지 않고 물맛이 좋은 돌탕관을 제일로 친다. 부리가 몸체보다 길면 다관 입부분에서 찻물이 먼저 흐르고, 부리가 몸체보다 짧으면 물줄기가 세어서 튄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물이 나오는 구멍이다. 지금은 의식 다례가 아니면 화로나 탕관은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