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속에서의 감물이응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11:50
본문
Download : 시속에서의 감물이응.hwp
이 과정을 통해 자아와 세계의 관계는 조응되며 세계의 자아화가 이뤄진다.
시란 사람의 감정에서 일어나는 바를 읊은 것으로 서정시의 가장 주된 특징은 바로 感物而應이다.
시속에서의 감물이응
순서


<시속에서의 감물이응>김현승가을의기도 , 시속에서의 감물이응인문사회레포트 ,
<시속에서의 감물이응>
-關關雎鳩 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
우짖는 저 새는 물가의 모래톱에 있네. 그윽하고 정숙한 숙녀는 군자의 좋은 짝이니라.
물가의 새를 바라봄으로서 알맞은 짝의 당위성으로 처음 하여 부부의 도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시이다. 지난 계절동안 노력을 기울인 것에의 결실을 맺음과 동시에 고독한 계절이기도 한 것이다.
가을의 기도 -김현승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낙엽들이 지는 때를 기다려
내게 주신 겸허한 모국어로 나를 채우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
가을에는 호올로 있게 하소서
나의 영혼,
굽이치는 바다와
백합의 골짜기를 지나,
마른 나뭇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귀같이.....
삼라만상이 종말을 고하기 처음 하는 계절인 가을은 그 끝을 요점함으로서 깨달음을 얻는 계절이기도 하다.
현대시에서도 이러한 감정이입, 투사 등이 이뤄지는 데, 그 중 김현승의 「가을의 기도」시를 통해 感物而應을 찾아보았다. 자연 현상이나 사물을 봄과 그에 이은 자신의 마음에 일어나는 정서를 읊는 형식을 따르는 것이다. 위 글은 <關雎>의 해석이다.
시어들을 살펴보면, 가을의 생리를 통해 자신의 고독함을 형상화해 보려는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아 ‘낙엽’, ‘마른 나뭇가지’ 가을의 매 말라 가는 생명의 모습을 보면서 시인 자신은 이러한 시어로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 고난과 시련을 겪은 후에 남은 자신의 모습을 나타냄으로서 죽음 혹은 떨어짐의 비극성과 마주한 생의 겸허이며, 동시에 운명애에 대한 소중한 자각을 찾을…(생략(省略))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김현승가을의기도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시속에서의 감물이응.hwp( 65 )
다. 志를 형상화 과정을 통해서 言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 현상을 보면서 시인 자신의 고독과 삶의 추구를 드러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