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11:38
본문
Download :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hwp
한 갈래의 생성과 소멸은 그 갈래 자체에 국한되는 의미만을 갖지는 않는다. 향가의 소멸 시기는 향가갈래의 범위나 정이 규정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난다.
.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





그리고 시조가 발생할 때때까지 향가가 지속되었으리라 보는 입장 황패강, <신라향가연구>, <<국문학 총서>>, 국어국문학회, 정음문화사, 1985.
과 경기체가가 유행한 고종 조에 이르러 향가가 소멸했다는 입장 김동욱, <사뇌가 소고>, <<한국가요 연구>>, 을유문화사, 1961.
조동일, <<한국문학 통사>>3판, 지식산업사, 1994.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향가의 소멸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는 <도이장가(悼二將歌)>, <정과정곡(鄭瓜亭曲)>, <벌곡조(伐谷鳥)> 등을 과도기 작품으로 보아 고려전이게 향가에서 고려가요로 갈래의 전환이 이루어 졌다고 보는 입장 조윤제, <<한국문학사>>3판, 탐구당 1987.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순서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이하에서는 원광대학교 박경주의 논문 <고려시대 향가 전승과 소멸 양상에 관한 고찰> 1998. 의 내용을 중심으로 향가의 쇠퇴와 소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재 향가 갈래를 규정하는 일차적 조건은 향찰로 표기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이러한 향가 갈래 규정이 포용성으로 인해 향가의 범위뿐만 아니라 향유기간 역시 문제가 된다. 현전 향가 작품의 향유 시기는 대략 신라 진평왕에서 고려 광종 조까지 라고
다.
Download :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hwp( 41 )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이 가운데 현재의 학계에서는 처음의 입장에 속하는 12세기 설이 통설로 인정되고 있는데 박경주의 논문에서는 후속 갈래의 형성시기를 근거로 하지 않고 향가의 향유 시기만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적어도 13세기 후반까지는 향가의 소멸시기를 늘려 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아
향가의 쇠퇴와 소멸 시기에 대한 고찰
설명
그에 앞서 선결해야 할 문제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현전하는 향가작품에 기준을 두어 소멸시기를 정할 것인지 아니면 고려가요 작품들 중에도 향가 작품의 존재를 인정할 것인지의 문제, 향찰 표기가 지속된 시기에 창작된 우리말 가요로 향가의 범위를 규정할 것인지, 향찰 표기와는 별로로 항가 갈래의 향유시기를 결정할 것인지의 문제 등이 걸려 있다아 또한 향가나 향풍체가라는 명칭이 존속하는 시기를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할 것인가 하는 문제 등이 향가의 소멸 시기를 살피는 작업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향가의 범위를 규정하는 작업과 그 소멸 과정에 대한 연구는 함께 진핼 될 수밖에 없다. 갈래의 alteration(변화) 는 작자층의 계층이나 세계관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고, 갈래간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 alteration(변화) 된 부분에 대한 의미 파악은 문학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 과제로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