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特性(특성)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뒤, 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7 14:18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hwp
/ 참 잘 : 한다. 이 용어는 분절음소와 다른 층위에서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초…(skip)
한국어교육론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特性(특성)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 목차 ..
다.
이와 같이, 말소리에는 분절음이 수단되어 함께 실현되는 발음의 길이나 세기, 높낮이, 억양 등에 의해 발화 문장의 의미 가치가 달라진다.
ex) 참 잘한다.
ex) 참 잘한다. 이러...
한국어교육론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property(특성)에 대해 說明(설명) 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
목차
I. 초분절 음소의 종류
1. 장단
2. 높이
3. 강세
II.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1. 음장
1) 음장의 뜻
2) 음장의 변동
3) 음장과 성조
2. 강세
1) 강세의 뜻
2) 강세의 기능
3. 억양
1) 억양의 뜻
2) 억양구와 핵
3) 억양의 유형
Reference List
I. 초분절 음소의 종류
인간의 발화는 분절 음소와 초분절 음소가 한 덩어리로 결합하여 실현된다 이 둘은 분리되지 않으며, 특정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 두 가지가 함께 얽혀 발화자의 의도를 전한다. 의존음소는 독립적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항상 분절음에 의존하여 자기 못브을 드러내는 음소라는 뜻이다.
미국의 구조언어학에서는 모음, 자음을 분절음소라고 하고, 장단, 강세, 높이, 억양, 연접을 초분절 음소 혹은 비분절 음소라고 부른다.
1970년대 들어 운율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안한 골드스미스는 초분절 음소를 자립분절음이라고도 불렀다. 비분절 음소는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분절음에 비해 나누어지지 않는 음소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말소리에는 분절음이 수단되어 함께 실현되는 발음의 길이나 세기, 높낮이, 억양 등에 의해 발화 문장의 의미 가치가 달라진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길이, 억양, 고저 등을 초분절 음소, 비분절 음소, 운소, 상가음소, 의존 음소 등으로 부른다. 미국 구조언어학의 대표자 브룸필드는 이를 2차 음소라 불렀고, 하우겐과 런던 언어학파는 운율소라고 불렀다. 장단이나 길이 등은 분절음 없이 결코 실현될 수 없는 존재이다. 초분절 음소의 뜻은 분절음 위에 존재하는 분절 음소이고, 상가 음소는 분절 음소 위에 더해지는 음소라는 뜻이다.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特性(특성)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뒤, 이..
방송통신/기타
한국어교육론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 목차 .. ,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뒤, 이..기타방송통신 , 한국어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 특성 대해 설명한 뒤
Download :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hwp( 94 )
한국어,초분절,음소,종류를,구분하고,각각,특성,대해,설명한,뒤,기타,방송통신
설명
순서
한국어교육론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property(특성)에 대해 說明(설명) 한 뒤, 이들 요소의 교수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서술하시오
목차
I. 초분절 음소의 종류
1. 장단
2. 높이
3. 강세
II.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1. 음장
1) 음장의 뜻
2) 음장의 변동
3) 음장과 성조
2. 강세
1) 강세의 뜻
2) 강세의 기능
3. 억양
1) 억양의 뜻
2) 억양구와 핵
3) 억양의 유형
Reference List
I. 초분절 음소의 종류
인간의 발화는 분절 음소와 초분절 음소가 한 덩어리로 결합하여 실현된다 이 둘은 분리되지 않으며, 특정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 두 가지가 함께 얽혀 발화자의 의도를 전한다. / 참 잘 :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