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7:22본문
Download :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hwp
② …(省略)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
번역노걸대,세기,음운체계,인문사회,레포트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 ,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인문사회레포트 , 번역노걸대 세기 음운체계
다.
② ㆀ
어두에는 쓰이지 않고 동사 어중에서 어기(語基)와 피동형 어미 또는 사동형 어미 사이에 나타남. 음가는 확실하지 않음.
예) 믈/믈→요, 메는→메우
③ ㅸ
15세기 중세어 ‘ㅸ’의 음가는 양순유성마창음[β]이었으나, 번역노걸대 이전에 활음[w]으로 變化(변화)한
『번역노걸대』의 16세기 음운체계
1. 표기법
말소리를 근간으로 하여 실지 발음에 가까운 표기를 하려고 한 15세기의 표기법과 달리 16세기에는 조금 추상적이긴 하지만 철저하게 음소를 단위로 한 음운체계에 충실하려 함.
1) 사용되지 않은 정음자
①
관형사형 어미로 ‘ㄹ’다음에 조음휴지가 오며 동시에 ‘ㄹ’이 성culture되고, 뒤에 따라 오는 평음의 장애음이 성culture되는 것을 표시.
(석보상절:15세기)→ ㄹ (번역노걸대:16세기)→ ㄹㅅ (몽어노걸대:18세기)
그러나 관형사어미 ‘ㄹ’뒤에 아무런 표기가 없다고 해서 15세기의 ‘’의 조음이 바뀐 것이 아니라 단지 표기법만 바뀐 것이다.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
Download : 번역노걸대 의 16세기 음운체계.hwp( 72 )
『번역노걸대』의 16세기 음운체계
1. 표기법
말소리를 근간으로 하여 실지 발음에 가까운 표기를 하려고 한 15세기의 표기법과 달리 16세기에는 조금 추상적이긴 하지만 철저하게 음소를 단위로 한 음운체계에 충실하려 함.
1) 사용되지 않은 정음자
①
관형사형 어미로 ‘ㄹ’다음에 조음휴지가 오며 동시에 ‘ㄹ’이 성culture되고, 뒤에 따라 오는 평음의 장애음이 성culture되는 것을 표시.
(석보상절:15세기)→ ㄹ (번역노걸대:16세기)→ ㄹㅅ (몽어노걸대:18세기)
그러나 관형사어미 ‘ㄹ’뒤에 아무런 표기가 없다고 해서 15세기의 ‘’의 조음이 바뀐 것이 아니라 단지 표기법만 바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