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2 23:42
본문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hwp
그 발생적 근원의 면에서나 형식적인 면에서 그리고 언어 표현 면에서도 잡연하기가 이를 데 없다. 따라서 이 발제에서는 잡가의 definition 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그 범주에 따라 조선후기 잡가를 향유하였던 담당층에 대하여 밝힌 다음, 잡가를 생산 수용하는 담당층의 특성(特性)에 따른 사설 형성의 원리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나 뒤에 잡가는 시가의 유형적 명칭이 되지 못하고 <유산가(遊山歌)>, <이팔청춘가> 등은 곡조
.
2. 잡가의 definition 과 범주
순서
설명
그러나 우리의 시가사에 등장한 장르 가운데 아마도 잡가만큼 혼란스러워 보이는 시가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잡가라는 장르 규definition 방법과 범주 설definition 기준이 논자에 따라 서로 달라서 잡가의 장르적 속성이나 범주를 잡는데 만족할 만한 합의점이나 통일된 기준을 확정하기가 아직도 쉽지 않은 실정에 있다.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잡가는 조선후기 서민들이 즐겨 부른 노래로, 가곡 ·가사와 같은 노래에 반대되는 말로 속요(俗謠)라는 뜻에서 잡가라 부르게 되었으며 또 잡가 ·선소리[立唱] ·민요 등을 총칭하기도 하나, 현재 민요는 후렴이 붙는 짧은 사설의 장절(章節)형식이 많고, 잡가는 긴 사설의 통장(通章)형식이 많아 이를 구분하는 것이 통례이다. 잡가라는 용어는 ‘남훈태평가’에서 처음 보인다.
한편, 조윤제는 처음에는 잡가를 가사의 하위 장르에 두었으며, 그 특성(特性)으로 가사가 속화하여 읽은후 읊는 시가에서 노래부르는 창곡적 시가로 변할 때는 그 형식이나 내용의 變化(변화)가 반드시 일어나며, 이러한 것을 잡가라 하되 넓은 의미의 가사의 하위장르에 둔다고 하였다.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이병기는, 처음에는 곡을 붙인 사설시조를 잡가라 하였으나, 뒤에 잡가는 민요·속요·타령 등을 통칭하는 명칭이라 하여 민요를 잡가라 지칭하였다.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란 서민들이 즐겨 부른 노래로, 그 사(詞)와 곡은 직업적인 가객들에 의하여 창작되었으며 일반서민들이 이를 애호하여 전승되었다. 시조가 음악적인 곡명이면서 하나의 시형을 지칭하듯이, 잡가 역시 곡명이면서 하나의 시형을 지칭하는 말이다. 잡가란 국악계에서 사용하던 곡명으로, 여기에 따르는 일정한 형식의 시가가 있었다.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hwp( 94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다. ‘남훈태평가’에서의 잡가는 가사, 낙시조, 통, 편, 계면 등과 구별된 일정한 노래로 칭하여졌다. 그런 까닭으로 시가연구의 초창기에는 잡가의 장르 규정이나 범주 설정에서조차 혼란을 보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