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사회적발달이론 : Erikson(에릭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21 18:18본문
Download : Er.hwp
3. Erikson의 심리사회理論의 기본가정
2. Erikson의 생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 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
에릭슨 유아교육 심리학 프로이드 발단단계
▪자아는 environment에 대한 유능성과 지배감을 확보하려고 하기 때문에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는 틀에 박힌 학교분위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얼마 후 아버지가 사망하고 에릭슨이 세 살 때에 유태인 소아과 의사와 재혼하였다. 에릭슨의 가장 중요한 저서는 [아동기의 사회]이며 이 책에서 그는 생애 발달의 8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1. 처음 하면서..
제 5단계 : 정체감 대 역할 혼미
심리사회적발달이론 : Erikson(에릭슨)
제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감
설명
▪ 발달은 생리, 심리, 사회적 속성을 지니며 전체 생애에 걸쳐 일어난다.
▪ 개인적 정체감은 사회조직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다.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유럽을 일년간 여행하였다.
(모든 인간이 유전적 요인에 기반하여 environment적 요구에 適應(적응)하고 environment적 어려움에 도전하고 이를 극복하며, 생의 의미를 추구해갈 수 있는 총제적인 존재로 봄)
▪사회제도와 보호자는 개인적 효율성의 발달에 긍정적 지지를 제공한다.
▪발달은 심리사회적 위기가 일어나는 8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프로이드의 理論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새로운 理論을 전개 해나갔는데 인간의 발달은 개인의 세 가지요소 즉 생물학적 요수, 자아, 사회의 집단 구성원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았다. 인간행동이 의식수준에서 통제가 가능한 자아에 의해 동기화 된다고 보았다.
제 2단계 : 자율성대 수치심 및 회의감
6. 프로이드와 에릭슨 理論의 공통점과 상이점
제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에릭슨 유아교육 심리학 프로이드 발단단계 / ()
에릭슨 유아교육 심리학 프로이드 발단단계 / ()
순서
Download : Er.hwp( 78 )
▪세대에 걸쳐 욕구와 능력이 상호연결되어 있다. 출생하기 전 부모가 별거한 몇 달후 아기를 낳았다.
제 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영아기, 0-1세)
2. 인간관
다. 덴마크계의 혈통을 가지면서 유태계 계부 밑에서 성장하게 된 에릭슨은, 운명적으로 자아정체감의 문제에 골똘히 파고들게 되어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심리학 연구자로 일했으며, 그 후 3년간은 예일대학교의 인간관계연구소에서 일했다. 그리고 개인의 발달은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
제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
에릭슨은 프로이드와 마찬가지로 그의 탁월한 통찰력으로서 인간의 발달과정을 理論화했다. 에릭슨은 소년 시절에 아주 뛰어난 학생이었다.
5. Erikson의 발달 단계
제 8단계 : 통합감 대 절망감
Erikson은 인간을 합리적인 존재 그리고 더 나아가 창조적 존재로 보고 있다. 그 후 히틀러의 반 유태 정책으로 인하여 유럽을 떠나 보스톤 쪽으로 옮겼다. 27세에 미국의 미술가이며 작가인 죠안 서슨과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었다. (당시 독인 사회는 청년들이 자아를 찾아 방황하고 노력하는 것을 묵인하는 분위기였음.) 25세가 되어서야 안나 프로이드가 운영하던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게 되었다.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 단계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유전적으로 결정된 단계가 현실화되는 것은 사회적 혹은 environment적 힘에 의해서라고 말한다. 인간은 각 발달단계에서 위기를 경험하며, 이 위를 잘 해결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人生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한다. 인간을 내적 통합성, 좋은 판단력 그리고 성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인간을 총체적 존재로 보고 있으며, environment 속의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3. 인간관
4. Erikson의 발달 단계
7. 에릭슨의 발달단계(표 작성)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1902년에 태어났다. 각 생활단계는 이전 단계의 성공에 기반을 두고 있으 며, 새로운 사회적 요구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인간의 발달은 끝이 없으며, 전체 생활주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발달한다고 보고 있다.
4. Erikson의 심리사회理論의 기본가정
▪생활단계에 동반되는 심리사회적 위기는 보편적인 것이며, 모든 문화에서 일어난 다. 성적은 각 간계의
위기를 해결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