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co.kr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 > java1 | java.co.kr report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 > java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1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2:54

본문




Download :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hwp




네트워크명령어(ping,tracert,nbtstat,netstat,route)







,기타,레포트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들의 기능과 사용법에 대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화면 2>를 보면 외부망의 특정 구간에서 속도가 늦다는 것을 알 수 있따
…(drop)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




설명
다. 보고서 작성에 모쪼록 활용이 되시길 빌며, 모두 A+ 받으시길 바랍니다.
갑자기 특정 사이트나 서버와 접속이 늦어진 경우에 tracert 명령으로 내부 네트워크가 느린지, 회선 구간이 느린지, 사이트 서버에서 느린지를 확인해 볼 수 있따 또한 전용회선 관리나 장애 복구시에도 많이 사용한다. 보고서 작성에 모쪼록 활용이 되시길 빌며, 모두 A+ 받으시길 바랍니다.


순서

레포트/기타



Download :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hwp( 90 )




1. ping

2. tracert

3. nbtstat

4. netstat

5. route


ping 명령의 TTL(Time To Live) 값은 어떤 OS를 사용하는지도 알 수가 있따 유닉스 계열은 255, 윈도우 계열은 128부터 TTL 값이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1씩 감소하므로 TTL이 200번대이면 유닉스이고, TTL이 100번대이면 윈도우 계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화면 1>을 보면 야후는 TTL이 200번대로 유닉스 계열을 사용 중이고 msshop.co.kr 사이트는 TTL이 100번대로 윈도우 계열을 사용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따

2. tracert
누리망 은 접속하려는 상대편 컴퓨터(서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중간 중간에 네트워크 장비를 거쳐 접속이 된다 tracert(trace route)는 최종 목적지 컴퓨터(서버)까지 중간에 거치는 여러 개의 라우터에 대한 경로 및 응답속도를 표시해 준다.네트워크명령어(ping,tracert,nbtstat,netstat,route) ,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기타레포트 ,
네트워크 명령어(ping, tracert, nbtstat, netstat, route)들의 기능과 사용법에 대상으로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전체 22,28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