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11:14
본문
Download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hwp
다.
Download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hwp( 26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
순서
2) 고려속요의 분류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II. 본론
1) 고려속요의 개념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설명
1.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特性
향가가 쇠퇴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인 속요이다. 물론, 두 장르를 합쳐서 부르자는 주장도 있지만, 속요와 경기체가라는 명칭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두 장르는 구분되는 경계선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 고려가요, 장가(長歌)라고도 부른다.
.
고려 속요는 원래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던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가, 한글 창제 이후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아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고려속요는 전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아 첫째, 가사는 전하지 않고 가명 밑에 작자. 유래. 내용 등만을 간략히 해설해 놓은 속요로서, <서경>, <대동강>, <양주>, <장단>, <원흥>, <금강성>, <장생포>, <총석정>, <송산>, <예성강>, <동백모>, <태평곡>, <북전> 등이 있다아 둘째, 구비 전승되다가 국자 창제이후 정착된 속요로, <동동>, <벌곡조>, <처용가>, <삼진작(정과정)>, <쌍화점(삼장)>, <사모곡>, <상저가>, <서경별곡>, <정석가>, <청산별곡>, <가시리>, <이상곡>, <만전춘별사> 등이 있다아 셋째, 한역되어 전하는 속요로는 <장암>, <오관산>, <거사련>, <사리화>, <제위보>, <안동자청>, <한송정>, <사룡>, <원정화>, <소년행>, <수정사>, <북풍선>, <정인>, <니활>, <우대후>, <호목>, <만수산>, <묵책>, <보현찰>, <아야>, <목자득국>, <이원수> 등이 있다아
3) 고려속요의 정착시기 및 전개
.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詩歌)를 우리는 흔히 속요와 경기체가라는 두 가지 장르로 나눈다. 즉,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등의 한문계(漢文系) 시가를 경기체가(景幾體歌)라고 하며,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등의 시가를 속요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한 시대의 작품을 두 가지 장르로 나누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지금부터 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그 이유를 찾아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