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의 원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18:39
본문
Download : 한국선의 원류.hwp
그러나 그것은 더 나아가 {법구경}과 China 도교의 기본적인 정신단련법이었던 수일의 실천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일행삼매의 좌선은 곧 수일불이의 주장으로 나타나 전개되어 갔다.
이와 같은 도신의 오문법은 후에 북종선 및 남종선으로 크게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아 특히 오문법의 형식은 신수의 {대승오방편}에 ...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이와 같은 도신의 오문법은 후에 북종선 및 남종선으로 크게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그의 [비문]에서는 [(신행은) 마음을 집중하는…(생략(省略))
한국선의 원류
Download : 한국선의 원류.hwp( 24 )
다. 신행은 벽관수행에 매우 뛰어난 사람이었다.
신행은 이와 같은 동산법문을 이은 선사였기 때문에 그가 주장하는 오방편의 법문이라는 입장에서 보면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특히 오문법의 형식은 신수의 {대승오방편}에 ... , 한국선의 원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이와 같은 도신의 오문법은 후에 북종선 및 남종선으로 크게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오문법의 형식은 신수의 {대승오방편}에 이르면 다섯 종류의 대승경전으로 뒷받침되어 일종의 유심철학의 체계를 형성하기에 이른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섯째의 수일불이설이다. 도신이 주장한 일행삼매의 구체적인 내용은 그의 {입도안심요방편법문}에서 설하고 있다 이것은 특히 그 title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초심자에게 처음 좌선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가르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신은 {대승기신론}의 내용을 일행삼매의 좌선으로 응용하여 각자의 망념의 요인을 살펴 그 근원적인 일심을 파악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곧 일행삼매가 단순히 정신집중에 그치지 않고 근원적인 마음을 깨닫는 것으로서 좌선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자성청정이 진여일심을 자각하는 것을 일행삼매의 실천원리로 삼은 것이다. 도신은 이것을 부대사로부터 얻었다고 한다. 그러나 신행은 여기에 벽관수행과 함께 오방편을 강조함으로써 그는 방편법문을 곧 자신의 수행이자 접화방법으로까지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것이 곧바로 `명견불성`이라는 깨달음의 전제로 되어 있는 점은 도신에 있어서 오문법의 구성이 지니고 있는 두드러진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신사상의 핵심은 위에서 언급한 [수일불이 동정상주 능령학자 명견불성]으로 요약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도신은 이와 같은 일행삼매를 채용하여 간단한 실천법을 좌선의 실습에 응용하여 독자적인 동산법문의 수행체계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