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說話) 모음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06:47
본문
Download : 설화(說話) 모음집.hwp
그 후 창조리를 비롯하여 왕의 학정에 불만을 품은 신하들이 왕이 후산(侯山)에 사냥을 가자, 그곳에 따라가 왕을 폐위하였다. 이에 그의 아내는 공후를 타며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었는데 소리가 매우 구슬펐는데 노래를 마치고는 스스로 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그의 아내가 뒤따르며 막아보려 했으나 막지 못하고 결국 미친 이는 물에 빠져 죽었다. 곽리…(생략(省略))
%20%EB%AA%A8%EC%9D%8C%EC%A7%91_hwp_01.gif)
%20%EB%AA%A8%EC%9D%8C%EC%A7%91_hwp_02.gif)
%20%EB%AA%A8%EC%9D%8C%EC%A7%91_hwp_03.gif)
%20%EB%AA%A8%EC%9D%8C%EC%A7%91_hwp_04.gif)
%20%EB%AA%A8%EC%9D%8C%EC%A7%91_hwp_05.gif)
%20%EB%AA%A8%EC%9D%8C%EC%A7%91_hwp_06.gif)
다. 여러자료를 조사하여 손을 많이 들여 작성한 리포트로써, 목차를 꼭 참고하세요. 리포트 작성에 많은 참고가 되시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졸고의 아들이며 왕손인 을불(乙弗, 미천왕의 아명)은 포악한 왕을 피해 신분을 감추고, 남의 머슴살이를 하며 주인을 위해 개구리가 울지 못하도록 밤새도록 연못에 돌을 던지기도 하고, 소금장수를 하다가 마음씨가 고약한 노파가 그의 소금자루에 몰래 자기 신발을 넣어 태형을 받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여러 설화를 조사하여 수집 정리한 자료입니다. 왕은 학정을 하였고, 재상 창조리(倉助利)는 여러 index 왕의 잘못을 간하였으나 왕은 듣지 않았다. 곽리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젓고 있었는데 머리가 센 미친 사람 하나가 머리를 풀고 술병을 낀 채 물살을 헤치며 건너가려 했다. 여러reference(자료)를 조사하여 손을 많이 들여 작성한 리포트로써, 목차를 꼭 참고하세요. 리포트 작성에 많은 참고가 되시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설명
순서
설화(說話) 모음집
✱ 설화(說話)
✱ 강감찬 금와훤(姜邯贊 禁蛙喧)전설
✱ 거타지 설화
✱ 고구려 미천왕
✱ 공무도하가(公無渡何歌)
✱ 구지가(龜旨歌) → 김수로왕 신화
✱ 구토설화(龜兎說話)
✱ 금와신화(金蛙神話)
✱ 김수로왕 신화(金首露王神話)
✱ 김알지 신화
✱ 김유신(金庾信)
✱ 김현감호(金現感虎)
✱ 단군신화
✱ 도미의 처
✱ 도솔가(兜率歌)
✱ 동명왕(東明王)
✱ 두견새(杜鵑)
✱ 망부석(望夫石) 설화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문전신(門前神) 본풀이
✱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 박타는 처녀
✱ 박혁거세 신화(朴赫居世神話)
✱ 방이설화
✱ 뱀신랑
✱ 뱀과 까치(혹은 꿩)의 설화
✱ 서동요(薯童謠)
✱ 선덕여왕(善德女王)
✱ 선도산 성모(仙桃山 聖母) 이야기
✱ 설씨녀 가실
✱ 성조(成造)풀이-서사무가(敍事巫歌)
✱ 손순매아(孫順埋兒)
✱ 수삽석남(首揷石枏)
✱ 아귀 귀신 이야기 →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참조
✱ 아기 장수 이야기
✱ 아랑각 전설
✱ 안민가(安民歌)의 배경설화
✱ 야래자(夜來者) 전설
✱ 연권녀 혹은 효녀 지은
✱ 연오랑 세오녀
✱ 예성강곡(禮成江曲)
✱ 오봉산(五峰山)의 불
✱ 용원설화(龍猿說話)
✱ 욱면설화(郁面說話)
✱ 원왕생가(願往生歌)
✱ 유리왕(琉璃王)
✱ 일월산 황씨 부인당 설화(日月山黃氏夫人堂說話)
✱ 장자못 전설
✱ 정읍사(井邑詞)의 배경설화
✱ 제망매가(祭亡妹歌)
✱ 조신(調信)의 꿈
✱ 지귀설화(志鬼說話)
✱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地下國大敵退治說話)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안민가’ 참조
✱ 처용가(處容歌)
✱ 풍요(風謠)
✱ 해가(海歌)의 설화
✱ 해모수(解慕漱) 신화
✱ 헌화가(獻花歌) → ‘해가의 배경설화’ 참조.
✱ 호동왕자(好童王子)
✱ 홍수설화(洪水說話)
✱ 황조가(黃鳥歌)
고구려의 봉산왕(烽上王)은 서천왕(西川王)의 태자로, 즉위한 이듬해, 아우 졸고가 딴 마음이 있다고 하여 죽였다. , 설화(說話) 모음집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Download : 설화(說話) 모음집.hwp( 78 )
,기타,레포트
우리나라의 여러 설화를 조사하여 수집 정리(arrangement)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을불은 그들의 옹립을 받아 왕위에 올라 고구려의 국력을 크게 신장 시켰다.
✱ 공무도하가(公無渡何歌)
공후인은 조선 진졸사람인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