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BP 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1 13:52
본문
Download : 교육_기계_IABP.hwp
IABP의 치료적 효과는 이완기의 증폭과 후부하 감소의 혈역학적 원리에 근거한다. 2. 적응증 1) 개심술 후 좌심실 기능부전 중등도 이상의 수축촉진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아래의 상태가 지속될 때 - 평균혈압 < 60mmHg 또는 수축기혈압 < 80mmHg - 심박출 계수 < 1.8 - 2.0L/min/m - 좌심방압 > 20 - 25mmHg - 체혈관 저항 > 2500 dyne-sec-cm 2) 급성심근경색증의 합병증 - 심인성 쇼크 - 심실중격결손증 - 급성승모판막 폐쇄부전증 - 경색범위의 확대 위험 3) 최대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는 불안정 협심증 4) 최대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는 심실성 빈맥 5) 급성 심근기능부전 상태 ( 예: 급성심근염 ) 6) 만성심부전증의 악화 7) 심장 수술 전의 예방적 적용 8) CPB의 weaning 실패 9) CPB 후 좌심부전
- 경색범위의 확대 위험





7) 심장 수술 전의 예방적 적용
10. 합병증
1. 개요
5. 效果
- 심박출 계수 < 1.8 - 2.0L/min/m
다.
9) CPB 후 좌심부전
4. IABP 위치
중등도 이상의 수축촉진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아래의 상태가 지속될 때
2. 적응증
4) 최대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는 심실성 빈맥
8) CPB의 weaning 실패
8. weaning from the IABP
6) 만성심부전증의 악화
설명
9. removal of the balloon catheter
5) 급성 심근기능부전 상태 ( 예: 급성심근염 )
IABP (Intra Aortic Balloon Pump) 1. 개요 : IABP는 가역적인 좌심실부전 환자에게 급성 또는 단기간 치료로 행해지거나 비가역적인 심부전 환자의 보조적 치료로 널리 사용된다.
IABP 간호
- 심실중격결손증
2) 급성심근경색증의 합병증
- 체혈관 저항 > 2500 dyne-sec-cm
IABP
- 급성승모판막 폐쇄부전증
3. 금기
Download : 교육_기계_IABP.hwp( 11 )
3) 최대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는 불안정 협심증
레포트 > 의학계열
순서
7. balloon volume 의 이동
1) 개심술 후 좌심실 기능부전
- 좌심방압 > 20 - 25mmHg
2. 적응증
IABP (Intra Aortic Balloon Pump)
6. IABP 效果의 감시
- 평균(average)혈압 < 60mmHg 또는 수축기혈압 < 80mmHg
11. 간호
1. 개요
- 심인성 쇼크
: IABP는 가역적인 좌심실부전 환자에게 급성 또는 단기간 치료로 행해지거나 비가역적인 심부전 환자의 보조적 치료로 널리 사용이되다 IABP의 치료적 결과 는 이완기의 증폭과 후부하 감소의 혈역학적 원리에 근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