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의 세계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4 19:16
본문
Download : 한의학의 세계화.hwp
눈을 감고 맥을 헤아리는 품이 영락없는 한의사다. 그곳에서 지금 그에게 사암침법을 가르치고 있는 예담한의원 정원조 원장(52)을 만났다.
독일인 하랄드 쉬케(50). 우리 전통 한의학이라는 사상의학과 사암침법에 반해 한국을 찾았다.
`정원장에게서 사암침범 얘기를 듣고 `Ja`(그래)라는 말이 저절로 튀어나왔죠. 무엇보다 中國의 침술보다 이해하기가 쉬웠고 치료效果(효과)도 높아 보였어요`
쉬케는 독일에서 25년째 `하일프락티커`(Heilpraktiker)로 일하고 있따 하일프락티커는 `아르츠`(Artz)로 불리는 일반 의사와 달리 자연치료법을 시행하는 독일의 전통의를 일컫는…(To be continued )
한의학의 세계화 , 한의학의 세계화의약보건레포트 , 한의학 세계화
한의학,세계화,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다. 그리곤 진맥을 봐주겠다며 환자의 왼쪽 손목을 지그시 누른다. 한국어와 에스페란토어, 그리고 드물게 독일어가 오간 `기이한 인터뷰`가 진행된 것은 그 때문이었다.
쉬케가 사암침법을 접한 것은 10여년 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였다.
Download : 한의학의 세계화.hwp( 32 )
순서
설명
한의학의 세계화
한의학의 세계화
국제지history(역사) 회연구
『한의학의 세계화』
목차
Ⅰ. 세계 속의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한의학
Ⅱ. 한의학의 의의와 중요성
Ⅲ. 여러 나라의 한의학의 발전 모습
1. 미국의 동향
2. 유럽
3. 中國
Ⅳ. 한의학의 발전을 위한 내부적인 노력
Ⅴ. 한의학의 국제적 진출 measure(방안) (Act locally, Think Globally) - 세계 속의 한국한의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외부적인 노력
Ⅵ. 글을 마치며
Ⅰ. 세계 속의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한의학
『경향일보』에서 발췌 2003년 11월 10일
한국전통의학 연구하러 온 독일 의사 하랄드 쉬케
`안니엉, 하세요오`
경기 광명시 광명동 예담한의원. 벽안(碧眼)의 중년 신사가 서툰 한국말로 인사말을 건넨다. 각자의 나라에서 `전통의학`을 연구하던 두 사람이 에스페란토어를 매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것이다. 옆에는 에스페란토어를 통해 만난 아내 송정옥씨(52)가 함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