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11:59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pptx
_SLIDE_7_
작품을 읽은후 난 후 생각
처용이…(To be continued )
인문어학,처용,작품,대해,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
순서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 ,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처용 작품 대해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1.gif)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2.gif)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3.gif)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4.gif)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5.gif)
![[인문어학]%20처용가%20작품에%20대해_ppt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B2%98%EC%9A%A9%EA%B0%80%20%EC%9E%91%ED%92%88%EC%97%90%20%EB%8C%80%ED%95%B4_pptx_06.gif)
다.
둘은 나의 것이었고
둘은 누구의 것인가
본디 내 방이지마는
앗아간
_SLIDE_1_
처용가(處容歌)
_SLIDE_2_
선택하게된 동기
어릴 때 처용culture제를 본적이있기때문일것이다
_SLIDE_3_
_SLIDE_4_
_SLIDE_5_
_SLIDE_6_
작가 : 처용
연대 : 신라 49대 헌강왕(875~885년)
갈래 : 8구체 향가
표현 : 향찰로 표기, 직설적인 표현, 체념적인 농사(희롱하는 글), 풍자, 제유법
성격: 축사(귀신을 쫓는 노래)의 노래
주제 : 아내를 범한 귀신을 쫓아냄, 아내의 부정을 체념함
의의
-의식무,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띄고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계속 전승되었다.
_SLIDE_8_
창작시
울곽 밝은 달에
방들이 노니다가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가랑이가 넷이도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인문어학] 처용가 작품에 대해.pptx( 28 )
_SLIDE_1_
처용가(處容歌)
_SLIDE_2_
선택하게된 동기
어릴 때 처용culture제를 본적이있기때문일것이다
_SLIDE_3_
_SLIDE_4_
_SLIDE_5_
_SLIDE_6_
작가 : 처용
연대 : 신라 49대 헌강왕(875~885년)
갈래 : 8구체 향가
표현 : 향찰로 표기, 직설적인 표현, 체념적인 농사(희롱하는 글), 풍자, 제유법
성격: 축사(귀신을 쫓는 노래)의 노래
주제 : 아내를 범한 귀신을 쫓아냄, 아내의 부정을 체념함
의의
-의식무,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띄고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계속 전승되었다.
_SLIDE_7_
작품을 읽은후 난 후 생각
처용이 자신의 아내에게도 역신에게 한 것처럼 너그러운 행동으로 용서를 해줬을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