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culture와 반신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4:51
본문
Download : 목욕문화와 반신욕.hwp
양반층은 목간통이라는 나무로 만든 둥근 욕조를 안방 또는 사랑방에 들여놓고 목욕했다.
목욕문화와반신욕 , 목욕문화와 반신욕인문사회레포트 ,
Ⅰ. 목욕문화 역사(歷史)
1. 우리나라 목욕역사(歷史)(민간 목욕originate )
2. 우리나라 대중목욕장 originate
3. 우리나라의 온천 역사(歷史)
4. 서양의 목욕 역사(歷史)
Ⅱ. 일본의 목욕문화
1. 일본의 목욕문화 배경
2. 약을 좋아하는 일본인과 온천
3. 한증막의 계보
4. `동냥 목욕`의 풍습
5.센토와 `이리코미`
6.우키요도코와 유나
Ⅲ. 건강과 목욕 (반신욕)
1. 반신욕, 이렇게 한다
2. 질환에 따른 방법과 efficacy
3. 목욕, 물의 온도, 방법에 따라 efficacy 달라진다
4. 만병의 근원을 없애는 반신욕
2. 우리나라 대중목욕장 originate
1910년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제 합병하기 이전 돈을 받고 목욕을 하게 하는 오늘날의 대중목욕탕은 없었고 서민층은 추운 계절을 제외하고 강이나 냇가 또는 호수에서 목욕을 했고 겨울에는 물을 데워 부엌이나 헛간에서 했다. 개방이후 선교사를 비롯해 각국의 외국인이 국내에 거주하면서 이들과 상대하는 호텔과 여관이 생겨났고 그들의 목욕수단에 따라 대부분의 숙박업소에서 방마다 욕실을 두거나 아니면 크게 하나를 만들어 투숙객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도록 했다.
이전에도 일본인들이 공중목욕탕을 설치코자 했으나 여럿이 모인 곳에서 옷 벗고 목욕하는 것은 천민이나 하는 짓이지 동방 예의지국인 우리나라에서는 할 수 없다고 크게 반발했다는 에…(省略)
목욕culture와반신욕
Download : 목욕문화와 반신욕.hwp( 98 )
목욕culture와 반신욕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 때의 공중목욕탕은 부(府)에서 직접운영하고 관리인(욕탕사용료수납, 시설, 용수, 욕탕사용인원 제한 등)을 임명했다. 이것이 오늘날 숙박업소가 대중탕을 겸하고 있는 시초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탕는 1924년 평양에서 설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