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8:49
본문
Download : 술에 대하여_5004640.hwp
또한 과량의 음주는 경미하거나 중증도의 고혈압, 부정맥을 가져올 수 있다아 특히 과다 음주 후 24시간 이내의 뇌혈관 사고는 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
과음은 인체에 어떤 influence을 미칠까?
알코올 component은 간장에서 탈수소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수소로 분해되고 6∼10시간이 지나면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어 숨을 쉴때 몸 밖으로 나오거나 땀과 같은 분비물에 섞여 배출된다된다. 통계청 자료(data)에 의하면 1995년 현재 20세 이상 인구의 음주율은 남자 83.0%, 여자 44.6%인데, 특히 여성 음주율은 1992년 33%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다아 연간 알코올 소비량도 세계적으로 높아 88년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모량이 연간 9.1ℓ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알코올성 장애 유병율도 세계적인 수준인데, 한국인중 평생동안 알코올성 장애를 일으키는 사람은 100명당 22명으로 미국의 14명, 대만의 7명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아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술이 하루에 1잔 이상이면 동맥내부에 침적되어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을 건강에 유익한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로 바꾸어 주어 심장병에 좋다고 한다. 간장에 남아 있는 아세트 알데하이드는 간 조직을 자극하거나 지방분을 쌓이게 하여 간질환의 원인(原因)이 …(To be continued )
Download : 술에 대하여_5004640.hwp( 16 )
설명
술에 대하여
레포트/의약보건
술에 대하여 기술●술 , 술에 대하여의약보건레포트 ,
●술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술에 대하여 기술
다. ●술의 definition
●술의 history(역사)
●한국 술의 history(역사)
●술의 종류
●술의 component
●술의 생리
●술과 건강
●알콜 중독
●알콜 중독의 원인(原因)
●알콜 중독의 진단
●알콜 중독의 치료
우리나라 성인,특히 남성의 음주율은 세계적으로 대단히 높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하루에 5잔 이상씩 장기간 과음을 하면 알코올성 심근장애를 일으켜 정상인에 비하여 심장의 근육이 약화되거나 심장의 부피가 20-30% 정도 늘어난다. 이러한 알코올 소비량은 미국·캐나다의 8.1ℓ,러시아 5.6ℓ,Japan 4.0ℓ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거대한 화학 공장이라고 불리는 간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알코올을 완전히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아 그러나 간이 분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알코올을 섭취하면 아세트 알데하이드가 분해되지 않고 간장에 남아 있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