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개혁 개방 초읽기-배경과 展望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3 00:58
본문
Download : 북개혁 개방 초읽기-배경과 전망.hwp
▦이종석= 그렇습니다.
문제는 방법론이지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訪中)은 구체적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즉 20세기가 제국주의 세력으로부터 체제를 보위하는 시대였다면 21 세기(世紀) 는 강성대국을 위한 경제력 강화의 시대라는 거죠.
▦조명철= 지금까지 북한의 개혁개방에는 2가지 걸림돌이 있었습니다. 첫째는 경제개방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To be continued )
▦조명철= 올 들어 노동신문이 신년사설에서 `자본주의 나라들이라고 해...
-북한은 이제 개혁개방의 길에 들어섰다고 봐야겠지요? ▦조명철= 올 들어 노동신문이 신년사설에서 `자본주의 나라들이라고 해... , 북개혁 개방 초읽기-배경과 전망경영경제레포트 ,
북개혁 개방 초읽기-배경과 展望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설명
Download : 북개혁 개방 초읽기-배경과 전망.hwp( 96 )
-북한은 이제 개혁개방의 길에 들어섰다고 봐야겠지요?
다. 북한은 이미 1999년부터 `경제관계확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지속적으로 경제개방을 타진해 왔고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이후 개방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따라서 이번 방중은 김위원장의 오랜 암중모색을 통한 결단인 셈이지요. 북한은 올해를 21 세기(世紀) 원년이자 새로운 전환기로 봅니다. 북한은 나진선봉지구, 금강산, 개성공단 등 몇 곳을 개방했습니다만 이 지역은 모두 북한의 중심부와 떨어져 있어서 북한 산업과의 연계가 미약합니다.
,경영경제,레포트




-북한은 이제 개혁개방의 길에 들어섰다고 봐야겠지요?
▦조명철= 올 들어 노동신문이 신년사설에서 `자본주의 나라들이라고 해서 그들과의 대외관계를 improvement(개선)해 나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하는 등 북한의 여러가지 움직임을 봐도 개혁개방에 나서고자 하는 의지는 확고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