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한국어교육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23:25
본문
Download : 한국어교육학.hwp
듣기 후 활동: 문법, 어휘, 표현, 발음, 억양 점검
듣기 중 활동: 물건 가격 알아보기
들을 내용에 대한 준비 단계이므로 다음과 같은 학습활동을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따
다) 그림을 보여 주어 들을 내용에 대한 예측을 하게 한다.
다.
재래시장 경험담 나누기
한국어교육학
학습자의 듣기 수업은 이해를 수월하게 준비시키는 듣기 전(pre-listening) 활동, 듣기 중(while-listening) 활동, 이해 내용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듣기 후(post-listening)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되며, 각 단계별로 목적에 맞게 적절히 지도해야 한다. 듣기 전 활동을 선정할 때에는 주어진 시간, 이용 가능한 자료(data), 학습자의 수준, 흥미, 학습 내용 등을 고려한다.
1. 듣기 전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학습 활동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시오.
듣기 3단계 중 듣기 전 단계에서의 학습활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한국어] 한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손님과 가게 주인의 역할극하기
한국어교육학
순서
라) 해당 주제나 상황에 대해 토의한다.
가) 듣게 될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을 준다.
결국 물건을 샀는지 알아보기
물건 값이 적절한지 들은 대로 답하기
설명
나) 듣게 될 내용과 관련된 읽을거리를 준다.
Download : 한국어교육학.hwp( 27 )
듣기 전 활동: 한국 돈의 종류 및 화폐 단위 알아보기
어느 가게에서의 대화인지 알아 맞추기
위의 활동은 듣는 내용을 자연스런 맥락으로 만들어 주여야 하며,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도록 듣기 활동에서 도움을 주어야한다.
한국어교육학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거스름 돈 맞게 받았는지 확인하기
듣기 활동의 수업에서의 사례(instance)로 우선 단원의 주제와 단계별, 듣기의 3단계 활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 듣기 활동을 effect적으로 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
가게와 살 수 있는 물건 연결하기
단원의 주제: 물건 값, 쇼핑
마) 안내 질문을 주어 대답을 생각하게 한다.
듣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듣기 활동 단계의 능동적인 행위를 이끌어내기 위한 준비,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듣기활동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단계: 초급





바) 듣기 활동을 위한 지시를 분명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