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co.kr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 java5 | java.co.kr report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 java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5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11:17

본문




Download :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hwp




“서경별곡과 같은 것은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가사(歌辭)이니, 매우 불가(不可)하다.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analysis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
與郞千載相離別 (여랑천재상리별-님과 천년의 이별을 하였으나
이 한역되어 전하는데 縱然巖石落珠璣 (종연암석락주기-설령 바윗돌에 구슬을 떨어뜨리더라도)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김명준, 『고려속요 집성』, 다운샘, 2002


또한 작자와 연대가 미상인 서경별곡을 여요 작품으로 간주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라고 볼 수 있따 최용수, 『고려가요연구(高麗歌謠硏究)』, 계명문화사, 1996, p175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셋째, 가락적인 측면에서 <정동방곡><영관>이 본 노래의 가락을 답습했다는 점 등이다.
.


원작 이외의 다른 자료(資料)가 전하지 않아 생성배경 및 경위를 소상하게 밝힐 수 없다.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 어구해석 최철 ․ 박재민, 『석주고려가요』, 이회출판사, 2003
둘째, 조선조에 와서 이 노래가 남녀상렬지사로 개편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 조선조 성종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타난다.
다. 그러나, 소악부에 한역된 부분과 동일한 구절이 같은 속악가사인 정석가에 삽입되어 있어 서경별곡 이해의 단서가 되고 있따


Download :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hwp( 19 )


서경별곡은 음악의 진행과정에 따라 전부 14연 평조로 나누어지나 노래말에 담긴 의미에 대한
一點丹心何改移 (일점단심하개이-한점 붉은 마음은 어찌 고쳐 바꾸리) - 『익재난고』 소악부 권4

이러한 작자와 창작연대 말고도 여러 가지 논의의 쟁점이 나타난다. 『악장가사 (樂章歌詞)』에는 전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와 『악학편고(樂學便考)』에는 첫 부분이 수록되어 있으며, 고려 공민와 때의 학자 익재(益齋) 이재현(李齋賢)의 유고(遺稿)를 모아 엮은 시문집, 『익재난고(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에 제 2연 여기서 제 2연이라 함은 작품의 여음구와 후렴구를 뺀 나머지를 내용별로 나누었을 때 세부분 혹은 네부분으로 나뉘는데 이때 이것의 두 번째 연을 말하는 것이다. 악보(樂譜)는 갑자기 고칠 수 없으니, 곡조(曲調)에 의하여 따로 가사(歌辭)를 짓는 것이 어떻겠는가?”는 傳旨가 성종에 의하여 내려진 것으로 보아 궁중악에서 배척되었음을 볼 수 있따 (傳曰 宗廟樂如保太平定大業 則善矣 其如俗樂如西京別曲 男女相悅之詞 甚不可 樂譜則不可卒改 依曲調 別製歌詞 何如 - 『成宗實錄 卷215 19年 4月 4日)
및 원문
순서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설명

.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1706_01_.jpg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1706_02_.jpg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1706_03_.jpg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1706_04_.jpg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1706_05_.jpg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서경별곡 - 어구해석 및 원문 내용분석 작품의 구조 작자와 형성시기 합가여부의 문제

첫째,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이 노래의 2연이 『익재난고(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에 한역되어 실려있다는 점

纓縷固應無斷時 (영누고응무단시-끈실만은 끊어지지 않으리니)
Ⅱ. 본 론



여기에서는 「서경별곡」의 어구 해석과 그 내용을 analysis하고, 작품구조 및 작자와 창작시기에 대해 살펴보며 합가에 관한 논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서경별곡(西京別曲)」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짐에서 오는 아픔을 노래한 작품이다.
전체 22,98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