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심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10:30본문
Download : 선천성심질환.hwp
선천성심질환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10. 대동맥 축착(Coactation of Aorta : COA)
전 동맥관형 : 동맥관의 앞 쪽에서 좁아짐
- 대동맥이 국소적으로 좁아짐
후 동맥관형 : 동맥관의 뒤 쪽에서 좁아짐
- 결손부위는 근위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원위부는 압력이 감소
- 임상증상 : 결손부위의 근위에 있는 혈관의 혈액을 받는 신체부분은 혈압이 증가하고 뛰는 듯한 맥박(bounding pulse)이 있음, 대퇴맥박은 미약하거나 없음, 하지는 상지에 비해 참, 운동 증가 시 조직의 산소결핍으로 근육 경련이 일어날 수 있음, 심잡음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
- 외과적 교정 : end-to-end 문합술로 협착된 부위절제, 또는 협착 부위의 조직이식
11. 엡스타인 심기형(Ebstein Anomaly)
- 삼첨판막은 3개의 소첨(leaflet)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각각 전엽, 후엽, 중격엽이라 부름.
엡스타인 심기형이란, 이러한 삼첨판막에 생기는 선천성 심기형으로 3개의 소첨(leaflet)중, 중격엽과 후엽이 원래 있어야 할 곳에 붙어있지 못하고, 심첨 쪽으로 더 가깝게 붙어 있는 심기형을 말함.
결과적으로 비정상적인 삼첨판으로 말미암아 심실의 부피는 작아지고 심방은 커져서 쓸데 없이 커진 부분이 생기게 됨. 이렇게 심방쪽에 붙은 심실을 `심방화 심실`이라 부름.
- 임상증상 : 우심방에 도달한 혈류는 일부가 심방간 통로를 통해 좌심방으로 이동하여 청색증을 유발, 동시에 우심실은 작고 삼첨판 기능 부전이 생기게 됨.
초기 증상이 경미한 많은 환아 : 호흡곤란, 피로, 운동시 청색증
심한 병변을 가지고 있는 일부의 환아 : 생후 1주 내에 심한 심부전증과 함께 청색증
- 태생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심기형임. 사망의 Cause …(drop)
순서
Download : 선천성심질환.hwp( 30 )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의약보건,레포트
선천성심질환1
다.선천성심질환1 , 선천성심질환의약보건레포트 ,
선천성심질환






선천성심질환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