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혈액-검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4:22
본문
Download : [간호학]혈액-검사.hwp
오직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및 요로폐색 등 신장질환 시에만 크레아티닌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또한 크레아티닌은 BUN과 관련지어 해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치보다 2배로 상승하면 사구체여과율이 50%감소하였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BUN과는 달리 크레아티닌 수준은 간장기능에 의해 별로 影響을 받지 않는다. 크레아티닌은 골격근 수축에 사용되는 creatinine phosphte의 분해산물이다.
설명
[간호학]혈액-검사
[간호학]혈액-검사
[간호학]혈액-검사 , [간호학]혈액-검사의약보건레포트 , [간호학]혈액-검사
순서
Download : [간호학]혈액-검사.hwp( 14 )
![[간호학]혈액-검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1.gif)
![[간호학]혈액-검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2.gif)
![[간호학]혈액-검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3.gif)
![[간호학]혈액-검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4.gif)
![[간호학]혈액-검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5.gif)
![[간호학]혈액-검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D%98%88%EC%95%A1-%EA%B2%80%EC%82%AC_hwp_06.gif)
레포트/의약보건
[간호학]혈액-검사,의약보건,레포트
[혈액검사]
혈중 크레아티닌 검사
(Dreatinine, Blood; Serum creatinine)
정상치
노인 : 근육부피가 감소하므로 크레아티닌 수준도 감소할 수 있다아
성인 : 여성 : 0.5~1.1mg/dL 혹은 44~97mmol/L(SI units)
남성 : 0.6~1.2mg/dL
youth : 0.5~1.0mg/dL
아동 : 0.3~0.7mg/dL
영아 : 0.2~0.4mg/dL
신생아 : 0.3~1.2mg/dL
Possible ciritical values > 4mg/dL (심각한 신기능 손상을 의미한다)
definition
신장기능사정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에 혈청 크레아티닌, blood urea nitrogen(BUN)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가 있는데, 이들 검사들을 신장기능검사라고 칭한다. 크레아티닌은 BUN과 같이 신장으로 배설된다된다. 매일 생성되는 크레아틴 곧 크레아티닌은 근육부피에 의존하며 근육부피는 거의 변동이 적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는 신장의 배설기능과 정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아 곧 신장기능이 정상이라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이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은 BUN수준과 거의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BUN보다 다소 늦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아 그러므로 크레아티닌수준의 상승은 만성적 질병과정을 의미한다. 즉, 정상적 BUN/크레아티닌 비율은 …(생략(省略))
다. 이중 혈청 크레아티닌은 혈중 크레아티닌의 양을 측정(measurement)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