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0 12:35
본문
Download :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hwp
둘째, 사회의 발전에 따라 공공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민간부문의 참여를 통해 경직된 관료운영체제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영수익사업의 1차적 목적이 수익증대라고는 하지만 결코 민간기업과 같은 이윤의 극대화나 영리를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업의 대상도 가급적 공공부문이 민간부문보다 비교우위에 설 수 있는 토지관련 사업이나 공유계산의 활용 및 장기적 투자와 안목이 요구되는 environment관련사업 등에 국한되는 경향이 강하다.
설명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순서
Download :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hwp( 28 )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목차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I. 대두요인 및 범위
1. 대두요인
2. 한국에서의 제3섹터 논의와 범위
II. 유용성 및 한계
1. 유용성
2. 한계
3. 사업형태
III. 민자 유치사업의 활성화 방안(方案) 및 改善방안(方案)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 유치사업
1) 대두요인 및 범위
(1) 대두요인
경영수익사업은 법률적 제도적 용어가 아닌 실무행정용어로서 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자체수입의 증대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민간경제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역 부존자원을 생산적으로 활용하고 공공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경제활동으로 지방세외 수입의 한 형태라고 定義(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지방공기업이 직접적으로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에 경영수익사업의 1차적인 목적은 사업을 통한 수익증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원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에 기...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목차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I. 대두요인 및 범위
1. 대두요인
2. 한국에서의 제3섹터 논의와 범위
II. 유용성 및 한계
1. 유용성
2. 한계
3. 사업형태
III. 민자 유치사업의 활성화 방안(方案) 및 改善방안(方案)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 유치사업
1) 대두요인 및 범위
(1) 대두요인
경영수익사업은 법률적 제도적 용어가 아닌 실무행정용어로서 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자체수입의 증대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민간경제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역 부존자원을 생산적으로 활용하고 공공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경제활동으로 지방세외 수입의 한 형태라고 定義(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지방공기업이 직접적으로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에 경영수익사업의 1차적인 목적은 사업을 통한 수익증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원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려는 것이다.
셋째, 민간부문의 투자기회확대는 지방재定義(정의) 확충 및 자생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경제성장과 민간부문…(省略)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레포트/경영경제






자치단체,경영수익사업,민자유치사업,경영경제,레포트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 , 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 및 민자유치사업경영경제레포트 , 자치단체 경영수익사업 민자유치사업
다.
민관공동출자사업의 경우, 사회간접자본 확충의 극대화, 공공서비스의 다양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方案)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첫째,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위해서는 거액의 개발투자가 소요되는바 종래의 행정투자로는 한계가 있어 민관공동출자사업에 의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