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택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4 16:28
본문
Download : 양택이론.hwp
다시 말해 생성 구조상 근본적 결함이 있는 곳은 터 자체의 부실이 지대함을 의미하며 결정적인 흉이 되므로 사후의 교정이나 보완 즉 가상(家相)이나 방위 따위로 만회(挽回)하기가 어렵다. 결국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 보잘것 없는 존재인 인간의 자연에 대한 도리이다.






양택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양택이론에 의해 양택의 3요소, 양택의 12방위론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아파트의 경우 잘 선택할 수 있는 방법등을 소개하였습니다. 자연력이나 자연 상태를 인위적 행위로 설혹 변형(變形)시킬 수는 있겠지만 결코 변질(變質)시킬 수는 없는 바 만일 그럴 가능성이 엿보이면 그것은 바로 재앙의 징후이다. 천헤(天惠)의 품 안에서 조금도 오만하지 않은 겸허한 마음으로 자연에 전혀 누를 끼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인공을 조심스레 가하여야 할 것이다. 길한 터의 상이나 가상을 도형적으로 표현하면 원형에 가까울수록 좋으나 현실에서는 그 모습이 부득이하게 방형(주로 직사각형)일 경우가 많은데 이때 그 가로와 세로의 비(比)는 1:0.577~1:0.866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산기된 용맥의 자락이나 기슭, 지각이나 요도 혹은 청백이 반주(反走)한 곳 등에서는 음택은 물론 양택의 입지로도 역시 부적합하다.
양택의 입지 즉 터 자체와 주위 지세가 양택에 걸맞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면 다음에는 건축물 등의구조물을 앉힘에 있어 터의 상(相)이나 가상(家相)을 길흉을 감안하여 정하여야 한다.이것은 삼각형의 모서리로 에너지가 제 각각 집…(省略)
Download : 양택이론.hwp( 79 )
다.양택 , 양택이론공학기술레포트 ,
양택이론
음택 理論(이론)과 마찬가지로 양택을 논함에 있어서도 건축물 등과 같은 양택 구조물이 입지한 지형을 가장 먼저 따져 보아야 한다. 양택이 입지한 터 그 자체의 혈성과 주위 지형의 지세 즉 국세를 살피어 길흉의 대강을 판별한다.
양택이론에 의해 양택의 3요소, 양택의 12방위론 등에 마주향하여 알아보았으며 아파트의 경우 잘 선택할 수 있는 방법등을 紹介(소개)하였습니다. 이것은 어느 한쪽이 과도하게 길면 지기의 집중도가 떨어져 결국 산기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방형의 모습 조차도 갖추지 않아삼각형의 모습을 한 터나 건축물 등은 그 상이 흉하다. 물론 판단의 기준이나 범위가 음택과는 사뭇 달라 비교적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기준이 적용되고 또한 影響(영향)을 주는 지세나 국세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긴 하지만 양택이나 음택이나 理論(이론)의 기저(基底)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