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co.kr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짐 experiment(실험) > java4 | java.co.kr report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짐 experiment(실험) > java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ava4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짐 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19:49

본문




Download :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hwp







Download :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hwp( 34 )


설명

제 1면적 모멘트 정리(arrangement) : 변위 곡선 상의 두 점 A, B에서 그은 접선이 이루는 각 는 이들 점 사이의 굽힘 모멘트 선도의 면적을 강성 계수 로 나눈 값과 같다.


이 정이에 사용되는 부호 규약은 다음과 같다. 2. 실험 종류 1) 외팔보의 처짐 2) 단순 지지보의 하중 - 변위 상관도 3) 단순보의 지간과 처짐 상관관계 4) 처짐의 형상 측정 곡률 반경

이 관계는 그림 4.5에서 다음과 같은 기하학적 해석을 할 수 있다 선 는 점에서의 접선이고, 는 점에서의 접선이므로 이들 접선 사이의 각은 이다. 이 면적 모멘트 법은 앞에서와 같이 변위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기는 것이 아니고, 단지 보의 어떤 한 점에서의 변위와 기울기가 필요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하중 처짐의 상관관계 등을 통하여 보의 처짐 theory(이론)을 이해한다. 1) 외팔보의 처짐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짐 실험
① 보의 위쪽을 압축을 일으키는 굽힘 모멘트가 양(+)이다.
면적 모멘트 법은 보의 변위를 구하는 다른 방법이다. 식 (4.25)을 A점에서 B점까지 적분하면, 변위 곡선의 A점 및 B점에서 그은 접선들이 이루는 각 을 얻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하중 처짐의 상관관계 등을 통하여 보의 처짐 이론을 이해한다. 이 각을 라 하면, 이다 여기서 는 곡률 반경이다. 식(4.4)
이 식의 적분은 점 A, B 사이의 굽힘 모멘트 선도의 총 면적을 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3) 단순보의 지간과 처짐 상관관계



그림 4.5에 나타낸 보의 변위 곡선의 한 부분 뮤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그림에는 점 A와 B 사이의 굽힘 모멘트 선도도 함께 나타내었다. 굽힘에 의하여 보가 변형을 일으키면, 미소거리 만큼 떨어진 보의 두 단면 , 는 어떤 각으로 교차하게 된다된다. 식(4.25)에 의하면, 각 는 굽힘 모멘트 선도의 면적(그림에서 2중 해치를 한 부분의 면적) 을 강성 계수(flexural rigidity) 로 나눈 값이다.


3.4 면적 모멘트 법(Moment-Area Method)
② 각 는 그림 3.5와 같이 B점에서의 접선이 A점에서의 접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가 양(+) 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면적 모멘트 정리(arrangement)를 얻을 수 있다


순서
4) 처짐의 형상 측정(measurement) 곡률 반경





2. experiment(실험) 종류

다.
1. experiment(실험) 목적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9466_01_.jpg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9466_02_.jpg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9466_03_.jpg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9466_04_.jpg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9466_05_.jpg


보[알루미늄, 황동, 강] 모형의 처짐 experiment(실험)
3종의 강성이 다른 보(알루미늄, 황동, 강재) 모형의 처짐 experiment(실험)을 실시한다. 이 방법의 이름은 굽힘 모멘트 선도의 면적을 사용하는 데서 origin되었다.
2) 단순 지지보의 하중 - 변위 상관도
1. 실험 목적 3종의 강성이 다른 보(알루미늄, 황동, 강재) 모형의 처짐 실험을 실시한다.
전체 23,40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ava.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