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통사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2 18:37
본문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_2071985.hwp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4 , 국어의통사구조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국어의통사구조
설명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_2071985.hwp( 59 )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동사부가어 分析은 장형부정 구문의 “하”를 동사로…(drop)
레포트/인문사회
다. 즉,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는 동사라면 이 동사는 언제나 목적격을 부여한다(7가). 그리고,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지 못하는 동사라면 경동사 “하” 역시 목적격을 부여하지 못한다(7나).
(7) 가. 철수가 사과를 먹지-를/*-가 못 했다.
4.3.3. 격부여와 상형태소 일치
경동사 “하”는 격을 부여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아 그런데, 이 경동사가 부여하는 격은 하위동사에 의해 결정되는 것 같다.
순서
4.3. 장형부정 구문의 특징과 동사부가어 分析
4.3.1. “-기/-지” 선택
장형부정 구문에서 “기/지” 선택 현상으로부터 상위동사가 부정자질을 내포하고 있으면 “지”가 선택되고 그렇지 않으면 “기”가 선택된다 그런데, 경동사 “하”가 부정요소와 결합하는 장형부정 구문에서는 여전히 하위동사에 “지” 형태소가 출현하기를 요구하고, 부정요소와 결합한 본동사가 반복되는 동사반복 구문에서는 여전히 하위동사에 “기” 형태소가 출현하기를 요구한다.
(8) 철수가 편지를 쓰지 않지 않았다.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4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4.3.4. 부정요소와 경동사 “하”의 반복
부정요소와 경동사 “하”의 반복현상은 동사부가어 分析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단형부정 구문에서는 부정요소의 작용역이 문장 속의 어떤 요소에 미칠 수 없다.
나. 철수가 부자이지-가/*-를 않다.
결국, 경동사 “하”는 격부여 능력에 있어서 하위동사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아 경동사 “하”가 하위동사와 일치하는 것은 상형태소에 있어서도 서로 일치한다. 즉, 장형부정 구문에서는 부정요소의 자질이 상위동사의 자질로 작용하는 반면, 동사반복 구문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아
4.3.2. 부정요소의 작용역
장형부정 구문에서는 부정요소의 작용역이 문장 속의 어떤 요소에 미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서 그 의미가 중의적이다. 즉 부정요소가 장형부정 구문에서는 핵어로 작용함에 반하여 단형부정 구문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