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學(공학) 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30 19:49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hwp
연안지역의 개간은 일시적인 것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검토가 구체적으로 충분히 이루어지지는 못해왔다.
연해 주군(州郡)은 경인(庚寅 : 1350년, 忠定王 2) 이후로 田地가 황폐하였는데 근년에 倭寇가 가라앉아 人物이 모여들어 田野가 개간되었으니 마땅히 打量을 해서 六典에 실린 것에 따라 貢賦를 정해야 합니다. 또한 3년 뒤 태종1년(1401) 8月에도 양전사업에 대한 제의가 나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장에서 살펴볼 15,16세기의 저평지 개간동향은 연작상경 농업기술 전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따
2. 15세기의 연해지역(沿海地域) 개간추세
태조 7년(1398) 7月의 기록에는 연해지역의 양전(量田)사업을 재개할 것에 대한 제의가 보인다. 을유양전 후 10여 년이 지난 태종 17년 호조는 외방의 해빈(海濱), 해도(海島)의 신간전(新墾田)은 육전(六典)의 규정에 따라 매년 현지확인을 통해 경작단위와 경작자를 정해(…(省略)
공학기술,~세기,저평지,低平地,저습지,低濕地,개간동향,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工學(공학) 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
[工學(공학) 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
Download : [공학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hwp( 26 )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1.gif)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2.gif)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3.gif)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4.gif)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5.gif)
![[공학기술]%2015~16세기의%20저평지(低平地)%20저습지(低濕地)%20개간동향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15~16%EC%84%B8%EA%B8%B0%EC%9D%98%20%EC%A0%80%ED%8F%89%EC%A7%80(%E4%BD%8E%E5%B9%B3%E5%9C%B0)%20%EC%A0%80%EC%8A%B5%EC%A7%80(%E4%BD%8E%E6%BF%95%E5%9C%B0)%20%EA%B0%9C%EA%B0%84%EB%8F%99%ED%96%A5_hwp_06.gif)
[공학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 , [공학기술]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 ~세기 저평지 低平地 저습지 低濕地 개간동향
다.(『태종실록』권2, 태종 1년 8월 甲寅)
이로써 을유양전(乙酉量田)이라 불리는 이곳의 양전사업이 재개되었고 연해지역의 간전(墾田)의 증가로 잉전(剩田) 30여만 결(結)을 얻는 큰 성과를 올렸다.
설명
` 目次 `
15~16세기의 저평지(低平地)저습지(低濕地) 개간동향
1. 머리말
2. 15세기 연해지역(沿海地域)개간추세
3. 16세기 저평지(低平地), 저습지(低濕地) 개간의 형태
4. 저지 개간의 동인(動因)과 주체
5. 맺음말
1. 머리말
우리의 농업은 14~15세기에 이르러 휴한법에서 벗어나 연작상경(連作常耕)이라는 놀라운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다. 그간에 이루어진 당시의 농업기술과 토지제도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 성과를 가지고 종합적인 시각으로, 이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