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 공동불법행위 연구 (민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21:54
본문
Download : 민법상공동불법행위에대하여.hwp
민법상,공동불법행위에,대하여,-,공동불법행위,연구,(민법),법학행정,레포트
설명
공동불법행위 연구 (민법)
1. 유형
(1) 협의의 공동불법행위
가) 공동불법행위 성립의 요건(객관적 공동설)
1.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하려면 행위자 사이에 의사의 공통이나 행위 공동의 인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객관적으로 보아 피해자에 대한 권리침해가 공동으로 행하여지고 그 행위가 손해 발생에 대하여 공통의 原因이 되었다고 인정되는 경우라야 한다.(大判 1998. 11. 24. 98다32045)
나) 고의와 과실의 경합
타인의 절취 또는 횡령한 장물을 매수하는 행위는 절도 또는 횡령을 한 자와의 사이에 의사공통이 없는 독립된 행위이기는 하나, 장물취득에 있어 업무상 과실이 있었다면 원소유자의 점유를 침해하여 그 회복을 곤란 또는 불능케하였다는 점에서 원소유자의 권리침해에 관하여 절도 또는 횡령을 한 자의 불법행위와 공동적 原因행위가 있다고 할 것이다(大判 1962. 11. 22. 62다579).
다) 과실이 경합
피고 갑회사의 차량이 횡단보도상의 피해자를 충격, 땅에 넘어뜨리자 뒤 따라 오던 피고 을회사의 차량이 피해자의 복부를 역과하여 사망한 경우에 …(drop)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 공동불법행위 연구 (민법)
다. ,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 공동불법행위 연구 (민법)법학행정레포트 ,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 공동불법행위 연구 (민법)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 민법상공동불법행위에대하여.hwp( 64 )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大判 1989. 5. 23. 87다카2723)
2. 수인이 공동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하는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하려면 각 행위가 독립하여 불법행위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면서 객관적으로 관련되고 공동하여 위법하게 피해자에게 손해를 가한 것으로 인정되어야 한다(大判 1998. 2. 13. 96다7854)
3. 교통사고로 인하여 상해를 입은 피해자가 치료를 받던 중 치료를 하던 의사의 과실로 인한 의료사고로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생겨 손해가 확대된 경우, 의사에게 중대한 과실이 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확대된 손해와 교통사고 사이에도 상당인과관계가 있고, 이 경우 교통사고와 의료사고가 각기 독립하여 불법행위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면서 객관적으로 관련되고 공동하여 위법하게 피해자에게 손해를 가한 것으로 인정되면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