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3:00본문
Download :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hwp
1919년 윤익선이범성 등이 서울 탑골공원 한쪽 모퉁이에 경성도서관(지금의 시립종로도서관)을 설립했고, 이어 대구인천대전 등 전국 각지에 공공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우리나라는 구한말 쇄국에서 개화로 가는 시기에 정치상의 불안과 공포 속에서도 신문과 잡지가 발간되는 등 민족계몽운동이 일어났다. 1920년 특수도서관인 철도도서관이 건립되었고, 1923년에는 조선총독부도서관이 개관되었다. 그러나 청일전쟁러일전쟁으로 입국한 일본인의 영주자가 늘어나자 이들은 도서관의 성격을 지닌 독서구락부를 설립하기 처음 했다. 근대 도서관의 태동은 1901년 부산에 부산독서구락부가 창설되면서부터였다. 1906년(광무 10) 2월에 이범구이근상윤치호 등에 의해 한국도서관이 창설되었으며 1910년(융희 4) 4월에는 국립도서관으로 전환되면서 대한도서관으로 이름을 고쳤다. 그후 일본인에 의해 강경목포경성 등지에 계속 문고가 설립되었다.설명
Download :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hwp( 46 )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
한국의 문헌정보학
1. 일제 강점기의 도서관학 교육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학 교육이 언제부터 처음 되었는지의 기준은 여러 가지입니다. 학교도서관은 경성제국대학보성전문연희전문혜화전문이화여자전문중앙보육전문 등에도 있었다. 1909년에는 관립고등학교에 신문종람소(新聞縱覽所)가 설치되었는데 이것은 학교도서관의 성격을 띤 것이라 할 수 있다 한일합병 이후 우리 민족은 식민지정책 하에서 고생하다가 1919년 독립운동을 계기로 일제가 文化(culture) 정책을 표방하게 됨에 따라 향교재단이 각지에 간이도서관을 설치하게 되었다. 또한 1906년에 진문옥곽룡순김흥윤 등이 평양 종로에 대동서관을 설립하여 일반인에게 무료로 소장 를 제공했는데 이것은 사립공공도서관의 효시가 되었다. 대한도서관은 1911년 5월에 총독부에 몰수되어 공개되지 못했다. 1931년에는 평양의 김인정(金仁貞) 여사가 회갑을 기념하여 인정도서관을 개관하기도 했다.
1945년 해방 무렵 우리나라의 도서관은 서울과 경기도에 9개관, 충청남도에 4개관, 전라북도에 4개관, 전라남도에 6개관, 경상북도에 …(생략(省略))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 ,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감상서평레포트 , 한국 문헌정보학 역사
한국의 문헌정보학 역사 .
레포트/감상서평
한국,문헌정보학,역사,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