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단지연현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22:27
본문
Download : 전단지연현상.hwp
1911년 독일 선박설계자인 Pietzker는 William John의 플랜지 유효폭의 개념(槪念)을 다시 intro 하였다.
Von Karman이 유효폭의 문제를 다룰때는 판의 휨의 강성을 무시하고 다루었는데 1936년에 Reissener는 현실적으로 판의 휨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여 휨강성을 고려한 유효폭…(skip)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다. 그의 이러한 제시는 유효폭에 대한 좀더 진보적인 이론(理論)이 제시되게끔 자극을 하였다. William John은 배의 deck과 Top sides의 판이 압축하중에 완전히 유효하게 견디지 못함을 알게되었다.
1924년 Von Karman은 문제를 평면응력 상태를 2차원으로 보고 응력함수를 이용하여 이론(理論)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공학기술,레포트
전단지연현상
실질적인 단면치수, 단면특성, 지지조건, 하중분포를 갖는 상자형교의 길이를 따라 응력과 휨 유효폭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설계 법칙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이와 같은 언급이 최초의 유효폭 개념(槪念)을 알리게 되었다. 1921년에 Bortsch는 유효폭의 근사해석방법을 최초로 교량Engineering의 문제에 적용시켰다. 1877년 선박 설계자인 William John은 악천후에 두동강이 난 선박의 강도를 조사하였는데 처짐모멘트로 발생된 高應力의 결과로 인하여 비롯된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그래서 그는 배의 단면계수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이 사실을 고려하여 선박의 Top sides판의 두께식을 유도하였다. 전단지연현상 , 전단지연현상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Download : 전단지연현상.hwp( 58 )
전단지연현상
실질적인 단면치수, 단면특성, 지지조건, 하중분포를 갖는 상자형교의 길이를 따라 응력과 휨 유효폭의 change(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설계 법칙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유효폭의 문제는 그 기원이 선박을 건조할 때부터 비롯되었다. 이 이론(理論)은 1929년 Metzer의 연구로 발전을 했는데 그는 Von Karman의 이론(理論)을 보완했으며 동일 간격으로 지지점위에 무한히 펼친 연속보와 단순보의 유효폭을 조사했다. Pietzker는 단지 폭을 판 두께의 40배∼50배만 보강된 부재가 강도를 발휘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Metzer는 유효폭의 定義(정이)를 ` 가정된 플랜지 폭에 취해진 휨 모멘트는 실제 응력분포를 가진 플랜지 폭에 취한 모멘트와 같다` 라고 定義(정이) 했다. 그의 논문에서 Von Karman은 최초로 유효폭이라는 용어를 intro 하였다. Von Karman의 定義(정이)에 의하면 유효폭은 보강재를 부재에서 동일한 응력을 전달하게 하는 플랜지을 폭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