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 성리학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09:46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hwp
김충렬, 『고려 유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4, p.160
Ⅱ.성리학의 수입과 토착화
.
.
“하늘과 땅 사이에 이(理)도 있고 기(氣)도 있다아 이(理) 라는 것은 형이상의 길이요 만물을 낳는 근본이며, 기(氣) 라는 것은 형이하의 그릇이요 만물을 낳는 재료이다. 그러므로 사람과 생물이 태어남에 있어서 반드시 이(理)를 타고난 연후에 본성이 있으며, 반드시 기(氣)를 타고난
Ⅲ.이(理) 와 기(氣)
진나라 이전의 유학은 공자, 맹자, 순자 등과 같은 사상가들의 활동으로 체계화된 학문으로 주로 인간관계에 착안하여 향외적인 윤리와 도덕에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안향에게 中國 방문의 기회가 주어져 연경에서 약 4개월을 머물고(1290년경) 고려로 돌아왔는데 이때 안향에 의해 성리학이 고려에 수입된 것이다.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한국이 유교를 수용한 것은 비교적 오래된 일이지만, 성리학이 어느 시기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는지는 정확하게 말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성숙을 위해서 많은 학자들(정몽주, 정도전, 권근 등)이 다리를 놓아 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레포트(report) - 성리학의 발전
이렇듯 성리학의 이론(理論) 체계는 우선 하늘과 땅의 존재 및 자연에 대한 우주론적 관심에서부터 처음 한다. 이 시기는 고려가 몽고의 지배하에 들어간 시기이며 유교는 쇠퇴하고 교육은 황폐하고 나라꼴은 말이 아니었다. 그러나 송나라 시대에는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 등이 향내적 으로 관심의 방향을 돌리고, 우주, 자연의 이치, 기운 등의 문제와 인간 내부의 심성 등을 탐구하였다.
Download :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hwp( 14 )
report - 성리학의 발전
역사(歷史)적인 data(資料)로 볼 때 中國으로부터 성리학이 수입된 때는 송나라가 망하고 원나라가 연경(현재의 북경)에 자리 잡고 있을 때이다.





설명
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순서
report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것은 1298년의 일이므로 안향을 성리학 수입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아
성리학에 대한 기본說明(설명) 을 마치고 이제 본격적으로 성리학에 다가서기 위하여 가장 기초가 되는 이(理)와 기(氣)의 개념(槪念)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성리학의 전래설에 백이정에 관한 이야기가 있으나 그의 생물 연대가 불확실하고 또 그가 연경에 간
성리학이 조선에 뿌리를 내리고, 토착화의 수준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훨씬 훗날의 일이다.
주희는 이와 기를 다음과 같이 說明(설명) 하였다. 성리학이란 후자의 학문 체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황준연, 『율곡 철학의 이해』 , 서광사, 1995, p. 61
레포트 - 성리학의 발전
report - 성리학의 발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