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9:01
본문
Download : 국어요약(2).hwp
(5) 국어의 형태적 property(특성)을 인구어적인 특징과 비교하였을 때 그 결여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나 특별히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국어는 대명사가 발달하지 않은 언어이며,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약되는 언어이다.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들’이 있기는 하지만 복수 대상에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에는 연결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경우도 있따 예를 들어 영어의 ‘two books’를 ‘…(省略)
국어요약
국어요약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요약(2).hwp( 96 )
국어요약,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연결 어미를 이용하여 영어의 접속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3) 국어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일이 있따
(4) 국어에는 분류사가 발달해 있따
분류사란 셈을 할 때 사용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단위성 의존 명사 또는 단위 명사라고도 한다.
⑥국어에는 인구어적인 의미에 있어서 일치 현상이 없다.
⑦국어에서는 복수 대상에 반드시 복수 표지가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형태와 기능 사이에 일대 일의 대응 관계가 있는 언어를 교착어 또는 첨가어라고 한다.
(2) 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
대명사가 있기는 하지만 그 쓰임은 매우 제약되어 있따 대명사 대신 언급되는 사람의 신분이나 직위를 나타내는 명사 또는 이름을 써서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순서
국어요약 , 국어요약인문사회레포트 , 국어요약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바른 국어생활과 문법
제1강 국어의 문법적 property(특성)
1. 문법적 property(특성)의 구분
(1) 형태적 현상 : 단어 형성, 품사 및 조사나 어미 관련 현상
(2) 통사적 현상 : 구성, 成分,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 요소와 관련되는 현상
2. 형태적 property(특성)
(1) 국어는 어미와 조사가 발달된 언어이다.
④국어에는 접속사가 없다.
(5) 국어의 형태적 property(특성)을 인구어적인 특징과 비교하였을 때 그 결여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나 특별히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국어는 대명사가 발달하...
바른 국어생활과 문법
제1강 국어의 문법적 property(특성)
1. 문법적 property(특성)의 구분
(1) 형태적 현상 : 단어 형성, 품사 및 조사나 어미 관련 현상
(2) 통사적 현상 : 구성, 成分,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 요소와 관련되는 현상
2. 형태적 property(특성)
(1) 국어는 어미와 조사가 발달된 언어이다.
②국어에는 관계대명사가 없다.
(3) 국어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일이 있따
(4) 국어에는 분류사가 발달해 있따
분류사란 셈을 할 때 사용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단위성 의존 명사 또는 단위 명사라고도 한다.
관계 대명사는 없지만 관형사형 어미를 이용한 관계 구성은 존재한다.
③국어에는 관사가 없다.
(2) 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
⑤국어에는 가주어와 같은 허형식이나 존재문의 잉여사와 같은 요소가 없다.
형태와 기능 사이에 일대 일의 대응 관계가 있는 언어를 교착어 또는 첨가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