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2:00
본문
Download :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hwp
자고(子高)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省略)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
공무도하,당대,민중,고난과,시련,노래로,해석,인문사회,레포트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 ,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인문사회레포트 , 공무도하 당대 민중 고난과 시련 노래로 해석
다.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
Download : 공무도하가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hwp( 72 )
《 공무도하가 》
- 당대 민중의 고난과 시련의 노래로의 해석
Ⅰ. 내용 요약
公無渡河 (공무도하)
公竟渡河 (공경도하)
墮河而死 (타하이사)
當奈公何 (당내공하)
저 님아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그예 물을 건너셨네.
물에 쓸려 돌아가시니
가신님을 어이할꼬.
1. 배경 설화
『해동역싸(海東繹史)』동서 제22 악가(樂歌) 악무조(樂舞條)에 의하면 최표의 『고금주(古今注)』에 기록된 이 노래의 배경설화는 이렇게 전하고 있다
공후인은 조선(朝鮮)의 진졸(津卒) 곽리자고(涇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