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9:23
본문
Download : 투명의 원리(2).hwp
선풍적인 인기를 끈 베스트셀러 해리포터 시리즈의 한 대목이다. 거울에 비친 영상은, 확실히 몸은 전혀 보이지 않고 머리만 공중에 떠서 자기를 바라보고 있었다. 유리를 말하는데 사용되는 투명함은 사전적 의미로 물체가 빛을 잘 통과시킨다는 뜻이다. 투명인간, 가능한 것일까
1)해리가 자신의 발을 내려다보았지만, 발은 사라지고 없었다. 그는 거울 앞으로 달려갔다.
메타물질은 자연 물질이 아닌 금속이나 실리콘 등으로 만든 인공 소재인데 전자기파나 광파에 대해 물질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가시광선을 피하도록 조절하면 토명망토와 같은 효율를 낼 수 있따 빛이 굴절되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이 없어 물체를 볼 수 없게 되는데 메타물질의 원리가 바로 이것을 이용한 것이다.
레포트/감상서평
투명의 원리
_hwp_01.gif)
_hwp_02.gif)
순서
투명,원리,감상서평,레포트
투명의 원리
투명의 원리
영화 투명인간, 할로우맨, 소설 투명인간.......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투명인간이다.
메…(투비컨티뉴드 )
설명
Download : 투명의 원리(2).hwp( 56 )
투명의 원리 , 투명의 원리감상서평레포트 , 투명 원리
다. 이 경우 보통 물질이 빛을 감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되는데 과학자들은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는 물질을 ‘메타물질’이라고 부른다. 누구나 한 번 쯤은 위 작품들의 주인공들처럼 투명인간이 되어 장난이라든지 비밀스러운 일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았을 것이다. 투명망토와 투명인간의 투명함은 여기서 더 나아가 물체의 굴절률과 외부의 굴절률이 같아야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그가 이번에는 망토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자 거울 속 영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남들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감추고 싶어 하는 욕구의 실현, 상상 속에서나 가능할법한 이야기가 사실이 된다면 그것이야말로 허구를 넘어선 과학기술의 커다란 성과일 것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투명망토는 투명인간과 ‘투명하게 된다 ’라는 것은 같지만 무언가를 걸치면 위치가 노출되는 투명인간과는 달리 망토를 걸쳐야만 모습이 사라지다는 차이점이 있따
투명인간과 투명망토의 ‘투명’이라는 것은 어떤 원리일까 원리를 알기 전에 먼저 ‘투명’의 definition 에 마주향하여 알아보자.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투명한 물체를 찾을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유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