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4 01:30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창제[2].hwp
한계란 다음과 같다. 나는 쟁점 논의에 필요한 1차 사료를 직접 수집하고 선정, 分析(또한 다른 연구자들의 논의를 충분히 검토한 끝에)하여 나름의 논리 체계 하에 結論을 얻는 절차를 취하지 않았다.
순서
Ⅰ. 들어가며
설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9-2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reference(자료)입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Ⅲ. 훈민정음의 창제가 명분상의 어제임을 주장한 논문分析
2. 금민수, 신국어학사, 1964.
훈민정음, 훈민정음의창제, 세정의친제, 친제설, 명분상의어제, 어제설, 국어사
Ⅳ. 나오며
지금부터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한 쟁점 중 하나인 세종 친제설과 명분상의 어제설 논의(논의가 집약된 논문)를 약(略)하고 그 바탕 위에 나의 생각을 펼쳐보려 한다. 그런데 본론에 앞서 이 작업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그간의 수많은 논의가 집약된 두 논문을 읽은후 비교한 정도일 뿐인 것이다. 전자의 과정을 수행할 능력이 내게 있었겠는가의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이러한 종류의 작업은 회의를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
3. 강신항,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한글사, 1996
Ⅰ. 들어가며
Ⅴ. 출처
Ⅱ. 훈민정음의 창제가 세종의 친제임을 주장한 논문分析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훈민정음창제[2]-5858_05_.gif](/prev/2009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2%5D-5858_01_.gif../prev/2009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2%5D-5858_02_.gif../prev/2009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2%5D-5858_03_.gif../prev/2009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2%5D-5858_04_.gif../prev/200909/%ED%9B%88%EB%AF%BC%EC%A0%95%EC%9D%8C%EC%B0%BD%EC%A0%9C%5B2%5D-5858_05_.gif)
4. 권재선,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 한글사, 1996
- 방통대 09-2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심재기, 한국사람의 말과 글, 1985. 2. 금민수, 신국어학사, 1964. 3. 강신항,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한글사, 1996 4. 권재선,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 한글사, 1996
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인 것을 선택, 지지하는 수준밖에 안되는 이 작업은, 단편적이고도 성급한 추측, 논리보다는 직관을 가지고 어느 한 편의 세(勢)를 더하는 꼴밖에 되지 않겠는가. 나아가 이런 부끄러운 수준의 고민이 왜 필요할까 하는 회의까지... 그래서 무엇보다 이 작업의 의미를 찾는 일이 더 중요했다. 친제설, 어제설의 순으로 요약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생긴 나의 의문이나 반박, 잡다한 고민 등은 각주로 처리할 것이다. 협찬이냐 친제냐 하는 논의 자체가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일까 하는 것에서부터 부끄러운 수준일지언정(겨우 두 논문을 비교하여 내놓은 졸고일지언정) 나름의 고민이 갖는 의미까지.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reference(자료)] 1. 심재기, 한국사람의 말과 글, 1985.
Download : 훈민정음창제[2].hwp( 15 )
[국어사]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하라
내 結論은 결국 여기에 강조점을 두기로 하고 두 논문의 요약부터 처음 한다. 그러한 고민들을 바탕으로 나의 입장을 다시 한번 요점하고 작업의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으로써 마무리하려 한다. 이미 논의가 거의 요점된 두 논문만을 읽은후 그 사이에 존재하는 대립각을 찾아 각각의 논거와 논리, 선택 자료(資料)의 정합성 등을 견준다.